중국 진출 정보

    중국 의류시장 동향

    □ 상품명 및 HS Code

     

     

     

      ㅇ 상품명: 의류 및 부속류(HS Code 6100)

     

     

     

    □ 선정사유

     

     

     

      ㅇ 중국 의류시장 지속 확대 및 의류에 대한 대한수입 증가

     

         - 중국의 의류시장은 지속적인 성장추세에 있으며, 디자인과 가성비가 우수한 한국제품의 중국 시장내 성장세도 두드러짐 
         - 중국정부에서 2018년 7월 1일부로 의류제품에 대한 관세 추가인하를 시사함에 따라 외국기업의 진출 가능성 확대 

     

    □ 시장규모

     

      ㅇ 유로모니터에 따르면,2017년 중국 의류산업 매출액은 1조 9200억 위안으로 전년동기대비 6.0% 성장했으며, 2012-2017년간 연평균 복합성장률(CAGR)은 6.2%에 달함   

         
      2015-2017년 중국 패션 산업 매출액 현황

     word_image

    자료원:중국보고망(中国报告网)

     

      ㅇ 생산량 증가의 관점에서 살펴보면, 2011-2016년간 중국 의류생산량은 5년연속 증가추세를 보였는데 254억 2000만 벌에서

    314억 5200만 벌로 증가하여 연평균 복합성장률은 4.4%를 기록함 
        - 하지만 2017년 이후 전자상거래를 필두로 한 신유통이 국가정책에 반영되면서 산업 업그레이드가 진행되었고 생산량이 287억 8100만 벌로 최근 6년이래 처음으로 감소세를 나타냄

     

      ㅇ 중국산업정보통계자료에 따르면, 2011년 중국 의류 전자상거래 시장규모는 2035억 위안을 기록했으며, 2016년 해당 시장

    규모는 9343억 위안까지 성장해 전년동기대비 25% 성장함
        - 2011년-2016년 연간복합성장률은 36%를 기록하여, 전체 의류시장에서 전자상거래 거래방식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1년 14% 수준에서 2016년 37%로 크게 성장함

     

    □ 시장동향

     

      ㅇ 중국 의류산업은 과거 ODM 방식에서 OBM 방식으로 변모함 

        - 그 이유로는 천을짜는 실, 원단, 옷의 부재료 등 원자재와 중간재의 브랜드 가치가 점차 시장에서 인정 받고 있고, 국내외 소비자

    들이 가지는 브랜드에 대한 인식도도 높아졌기 때문임

     

      ㅇ 남자 의류의 경우, 전반적으로 시장이 침체국면에 있으나 중고가 시장은 오히려 성장 국면에 있음    
        - 최근 경기하방 압력 및 제품 변화주기가 길어 남자의류시장은 어려운 상황에 직면한 상황이며, 2017년 남자의류시장규모는 5500억 위안 수준으로 4년 연속 3-5% 성장에 그쳤음 
        - 반면, 비즈니스 네트워킹의 필수품인 중고가 남성 의류시장은 관련 브랜드의 정보기술과 의류를 결합한 제품을 잇따라 출시하며, 고가의류시장에서 남성 비율을 70%까지 끌어올렸음

     

      ㅇ 의류 구매의 주요 루트인 전자상거래 시장에서 의류는 가격적인 부분이 가장 큰 고려 대상이며, 1선도시를 중심으로 전자상거래

    소비가 많은 것으로 나타남   
        - 전자상거래 소비 침투율은 1선도시가 여타 도시에 비해 월등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단적인 예로 2015년 전자상거래 소비

    침투율은 1선도시는 8.4%이고 4선 도시는 3.6%을 기록했음 
        - 특히 1선도시는 임금이 높지만, 생활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관계로 수입과 소비가 정비례하지 않는 상황이 다수 발생하여 의류와

    같은 소비재 제품 구매시 가성비를 가장 으뜸으로 두는 것으로 나타남  
        - 2016년 전자상거래 소비에서 전체 소비자의 40%가 제품 구입시 가장 중요한 요소는 가격으로 응답함

     

      ㅇ 온라인에 대한 수요도 많지만, 가격변동이 다른제품에 비해 적고, 옷은 직접 입어봐야 한다는 성향도 있어 오프라인 구매 인구도

    많은 것으로 나타남  
        - 그 원인으로 가장 큰 것은 의류의 경우 2007년부터 2017년간 가격지수 상승률이 10%에 지나지 않았지만 소매물가지수는 21%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식품의 경우 그 수치가 66% 상승한 것으로 나타남     
        - 2002년-2017년간 상기 세 종류의 수치 상승률은 각각 4%, 31%, 104%를 기록하며, 더욱더 큰 차이를 보였음

     

    □ 최근 3년간 수입규모

     

      ㅇ 중국 의류 수입규모는 15년 23억 978만 달러, 16년 23억 9788만 달러,17년 27억 8619만달러를 기록함

        - 수입증감률은 15년, 16년, 17년 각각 전년동기대비 11.7%, 3.8%, 16.2%를 기록하며 빠른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음


    중국 연도별 수입동향(HS code 6100)

                                                                                                                                       (단위 : 천불, %)

    연도

    수입액

    수입증감률

    2015년

    2,309,788

    11.7

    2016년

    2,397,884

    3.8

    2017년

    2,786,195

    16.2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 상위 10개국 수입동향

     

      ㅇ 중국 10대 수입국 동향을 살펴보면 베트남, 캄보디아, 인도네시아 등 위주의 저가시장과 한국, 포르투갈 등 중고가 시장, 이탈리아 위주의 고가시장으로 나눠져 있음.

     

      ㅇ 수입증감률을 보면, 17년 대한국 수입액은 전년대비 17.5%를 기록하는 등 중국 내 수입액 기준 10대국가 대다수가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함.

     

     2017년 중국 10대 수입국 동향(HS code:6100)
                                                                                                                                                (단위 : 천불, %)

    국가명

    수입액

    수입증감률

    베트남

    497,801

    26.5

    이탈리아

    315,528

    20.6

    캄보디아

    222,382

    29.9

    방글라데시

    202,191

    0.3

    포르투갈

    160,060

    34.6

    인도네시아

    159,864

    34.6

    터키

    141,710

    7.4

    태국

    108,796

    12.2

    한국

    79,096

    17.5

    북한

    65,254

    -41.7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 대한수입규모 및 동향  

     

      ㅇ 중국 의류의 대한 수입규모는 13년 6150만 달러 수준이였으나, 17년 그 수입액이 7909만 달러까지 늘었음

     

      ㅇ 수입증감률은 14년을 제외하고 지속 성장하고 있으며, 17년에는 전년대비 17.5% 성장하여 최근 5년이래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함.

     

    중국 의류시장 대한 수입규모 및 증감율 (HS code 6100)
                                                                                                                                             (단위 : 천불, %)

    연도

    수입액

    수입증감률

    2013년

    61,505

    4.8

    2014년

    59,367

    -3.5

    2015년

    63,102

    6.3

    2016년

    67,333

    6.7

    2017년

    79,096

    17.5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 제품 형태별 경쟁동향, 주요경쟁기업, 유통 형태 
      

    제품형태

    캐쥬얼

    여성의류

    패셔러블

    온라인구매

    고급여성의류

    출범시기 

    80년대 이후

    90년대 후반

    00년 이후

    03년 이후

    00년 이후

     

    유통망형태   

    전문점, 

    쇼핑몰 내 입점

    쇼핑몰 내 

    입점

    쇼핑몰 내 대규모 면적 입점

    온라인 

    플랫폼

    쇼핑몰 내 입점

     

     

     

     

    로컬 인기 브랜드

    메이방(美邦)、센마(森马)、즌웨이스(真维斯)

    거리야(歌莉娅)、쯔유니오(自由鸟)

    meters/bonwe(美特斯邦威)

    한두이시어(韩都衣舍) 비롯한 여러 가지 티몰 플랫폼에서 인정 받은 브랜드;  유명 오프라인 패션 브랜드의 온라인 플랫폼

    Marisfrolg(玛丝菲尔)、

     

    LANCY(朗姿)、EP(雅莹)

     

     

    해외 인기 브랜드

    GIORDANO(佐丹奴)、U-RIGHT(佑威)、BOSSINI(堡狮龙)

    ONLY、VERO

    MODA、ETAM等

    ZARA、H&M、

    UNIQLO等

    ONLY 등 명품 티몰에 입점

     

    MAXMARA、

    MIUMIU、MARNI

     

     

     

    시장 현황

    00년 이후 경쟁확대로 저가 가격 위주로 형성 여러 제품 형태 출시 이후

     큰 타격

    해외브랜드가 시장점유율에서 압도적이며, 유명브랜드 위주

    시장 점유

    해외브랜드가 대규모 자금 및 빠른 영업전략을 앞세워 중국 시장 점유

    해외브랜드는

    낮은가격 및

    품질 문제 직면,전통 브랜드 온-오프라인 판매 균형문제 직면

    시장은 현재

    성장중이고,

    브랜드 집중도가 낮으며, 진입장벽이 비교적

    높다

     

     

    중국기업의 

    대응전략

    새로운 중가상품 출시로 시장판도 변화를 위해

    노력

    티몰 등 온라인

    판매주력

    판매망 확대,

    영업전략 개선,벤치마킹 주력

    7일 내  환불

    및 무료교환, 

    온라인 판매전담팀 구성

    지속적인 판매망

    구축 및 확대

    출처 : 중국산업정보망(中国产业信息网)

    □ 관련 정책 및 관세율


      ㅇ2018년 5월 30일 중국 국무원 상무회의는 비교적으로 큰 범위에서 일용 소비품의 관세를 낮추기로 결정했음

        - 5월 31일에 중국 관세세제위원회(关税税则委员会)는 일용품 수입 관세를 낮추는 것에 관련 결정을 발표했음

        - 이 결정에 따라 2018년 7월 1일부터 총 1449개 세목을 포함된 부분 일용 소비품의 최혜국 관세율을 낮추는 정책을 실시함


      ㅇ1449개 세목 중 의류 관련 세목은 430개에 달해 총 세목의 30%를 차지하고 있으며,  그 중 대부분 의류제품의 관세율은 16%-14% 수준에서 6%로 떨어짐

         - 특히 편직 외투,양복 등 의류제품 관세율은 25%에서 10%로 대폭 떨어짐


     □ 시사점

     

      ㅇ 중국 의류시장 내 한국제품은 최근 3년간 빠른 성장세를 보여 왔으며, 최근 한중관계가 해빙기에 접어들면서 더욱 빠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음  

     

      ㅇ 특히 2018년 7월 1일부로 의류제품의 관세가 대폭 인하될 것으로 예상되면서, 한국 의류제품의 가격경쟁력은 더욱 올라갈 것으로 사료되며, 이에 따라 한국 제품의 중국 진출은 더욱 확대될 전망임

     

      ㅇ 하지만 상기 분석한 제품 형태별로 중국의류시장도 다른 상황을 띄고 있기 때문에 중국시장 공략을 위해서는 제품 형태별로 차별화된 진출 전략 수립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됨

     

    자료원: 중국산업정보망(中国产业信息网),한국무역협회,중국보고망(中国报告网) 및 정저우무역관 자체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