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진출 정보

    홍콩 유아용 화장품 시장동향

    - 유아 피부에 맞는 무독성 제품이 인기 -

    - 간편하게 쓸 수 있는 유아용 물티슈의 빠른 성장세 - 

     

     

     

    □ 상품 기본정보

     

      ㅇ 상품명: 유아용 화장품

     

      ㅇ HS Code: 481820(클렌징 티슈), 330499(스킨케어), 330510(샴푸) 

     

      ㅇ 관세율: 해당 사항 없음.

     

      ㅇ 수입규제 및 인증: 없음.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시장규모

        - 2017년 유아용 화장품 시장은 3억9100만 홍콩달러(약 555억 원)로 전년 대비 3.5% 증가했음.

        -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유아용 화장품 시장은 매년 꾸준히 성장해 2022년 시장규모는 4억3900만 홍콩달러(약 628억 원)로 예상됨.

        - 유아용 화장품은 아기용 물티슈, 스킨케어, 헤어케어 순으로 시장규모가 크며 유아용 물티슈가 최근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임. 

     

    홍콩 유아용 화장품 시장규모

      (단위: 백만 홍콩달러)

    자료원: Euromonitor

     

      ㅇ 시장동향

        - 과거 멜라민 분유 사태와 최근 불법 백신 파동으로 중국 내 유아용품산업은 신뢰받지 못함. 반면 홍콩에서 유아용 화장품을 구매하는 중국 소비자는 꾸준히 증가함.

        - World Green Organization(WGO) 단체의 유아용 화장품 소비자 설문에 따르면 홍콩 소비자의 75%가 상품의 안전성, 성분, 품질을 중요시 여김.

        -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홍콩 소비자들은 안전성을 갖춘 제품을 선호해 고가 및 유럽 브랜드의 유아용품이 인기를 끌고 있음.

     

    □ 수입규모 및 동향

     

      ㅇ (전체) 2017년 화장품(HS Code 481820, 330499, 330510 기준) 총 수입액은 각각 8억9000만, 10억2000만, 28억5730만 홍콩달러임.

        - HS Code별 수입금액은 유아용 화장품을 포함한 각 품목의 전체 수입금액을 나타내므로 수입 통계는 참고 자료로만 활용

     

      ㅇ (한국) 최근 3년간 클렌징 티슈 및 스킨케어 품목은 꾸준히 성장하고 있으며, 스킨케어 품목은 3년 연속 수입규모 1위를 차지함.최근 3년간 샴푸 품목은 소폭 상승하는 추세임.       

     

    홍콩 클렌징 티슈 등 화장품 국가별 수입동향(HS Code 481820)

    (단위: 백만 홍콩달러, %)

    순위

    국가명

    2015년

    2016년

    2017년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1

    중국

    579

    -7.4

    577

    -0.4

    581

    +0.8

    2

    한국

    75

    +133.8

    102

    +37.4

    119

    +16.6

    3

    대만

    87

    -7.1

    99

    +13.7

    96

    -3.1

    4

    싱가포르

    12

    +11.1

    18

    +49.1

    23

    +22.2

    5

    일본

    19

    -26.5

    22

    +16.6

    15

    -30.8

    6

    미국

    36

    -35.2

    20

    -46.2

    13

    -35.3

    7

    인도네시아

    7

    -26.6

    7

    +1.4

    7

    -6.8

    8

    네덜란드

    4

    -47.9

    4

    -1.7

    7

    +87.3

    9

    태국

    44

    +74.3

    34

    -23.4

    5

    -84.7

    10

    마카오

    6

    -22.3

    5

    -18.3

    4

    -16.1

    주: HANDKERCHIEFS, CLEANSING OR FACIAL TISSUES AND TOWELS, OF PAPER PULP, PAPER, CELLULOSE WADDING OR WEBS OF CELLULOSE FIBERS

    자료원: 홍콩 통계청

     

    홍콩 선크림 등 스킨케어제품 국가별 수입동향(HS Code 330499)

    (단위: 백만 홍콩달러, %)

    순위

    국가명

    2015년

    2016년

    2017년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1

    한국

    3,955

    +65.6

    6,791

    +71.7

    7,042

    +3.7

    2

    싱가포르

    2,690

    -9.0

    2,958

    +10.0

    4,235

    +43.2

    3

    일본

    2,200

    +22.2

    3,304

    +50.2

    4,191

    +26.8

    4

    중국

    1,941

    +5.7

    2,163

    +11.4

    2,363

    +9.2

    5

    미국

    1,914

    +20.9

    2,016

    +5.3

    1,924

    -4.5

    6

    프랑스

    2,014

    -3.6

    1,715

    -14.8

    1,791

    +4.4

    7

    스위스

    1,356

    -14.4

    1,255

    -7.5

    1,742

    +38.8

    8

    대만

    1,071

    +21.4

    1,150

    +7.4

    1,007

    -12.4

    9

    네덜란드

    674

    +19.6

    639

    -5.1

    921

    +44.0

    10

    이탈리아

    597

    +6.6

    621

    +4.0

    730

    +17.6

    주: BEAUTY OR MAKE-UP PREPARATIONS AND 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NESOI, INCLUDING SUNSCREENS AND SUNTAN

    자료원: 홍콩 통계청

     

     홍콩 샴푸 등 헤어케어제품 국가별 수입동향(HS Code 330510)

    (단위: 백만 홍콩달러, %)

    순위

    국가명

    2015년

    2016년

    2017년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수입액

    증감률

    1

    중국

    417

    -1.0

    347

    -16.8

    269

    -22.5

    2

    일본

    155

    +27.9

    165

    +6.3

    142

    -14.0

    3

    대만

    139

    +0.1

    159

    +14.6

    124

    -21.9

    4

    한국

    88

    +304.2

    84

    -4.7

    93

    +10.6

    5

    미국

    131

    +49.8

    95

    -27.9

    83

    -12.8

    6

    독일

    67

    +22.1

    66

    -2.2

    58

    -11.6

    7

    영국

    38

    +42.8

    47

    +23.5

    38

    -19.5

    8

    마카오

    31

    -10.4

    20

    -35.9

    26

    +29.4

    9

    이탈리아

    18

    +7.9

    15

    -14.1

    25

    +62.7

    10

    호주

    18

    -3.1

    20

    +14.1

    24

    +20.1

    자료원: 홍콩 통계청

     

     경쟁 동향 및 주요 경쟁기업

     

      ㅇ 경쟁 동향

        - 홍콩은 현지 브랜드보다 해외 브랜드에 대한 신뢰가 높아 대부분 유럽, 호주를 비롯한 해외 브랜드가 높은 시장점유율을 보임.

        - 독일 브랜드 Sebamed와 호주 브랜드 QV는 스킨케어, 헤어케어에서 소비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음.

        - 홍콩 Watsons Baby 담당 매니저 인터뷰에 따르면, "최근 스킨케어 제품에서 Sebamed 브랜드 제품의 인기가 빠르게 높아지고 있다."고 함.

     

      ㅇ 주요 경쟁기업

     

    홍콩 유아용 화장품 기업별 시장점유율  

    순위

    브랜드 로고

    브랜드명

    점유율(%)

    1

    Johnson’s baby

    46.6

    2

    Huggies

    10.4

    3

    Baby Sebamed

    8.9

    4

    Pigeon

    6.5

    5

    Pampers

    4.4

    6

    Nu Skin Epoch

    3.9

    7

    Mannings

    (자체상품)

    2.8

    8

    Select

    (자체상품)

    1.9

    9

    First Choice

    (자체상품)

    1.9

    10

    QV

    1.5

    자료원: Euromonitor, 해당 홈페이지

     

    □ 유통구조

     

      ㅇ 주로 대형 드러그스토어에서 구매

        - World Green Organization(WGO) 설문조사에 따르면 유아용 화장품 구매자의 85%가 대형 드러그스토어(Mannings, Watsons 등)에서 구매

        - 일반 백화점, 슈퍼마켓, 편의점 유통량은 감소하는 추세임.

        - 최근 홍콩 소비자들은 해외 유아용 화장품 제품들을 비교 후 온라인상으로 직접 구매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음. 

     

    □ 시사점

     

       유아용 화장품은 제품 안전성이 우선

        - 홍콩 소비자들은 가격보다 제품 안전성을 중요시함. 유럽산 유아용 화장품은 성분 규제가 까다로워 안전성이 보장된다고 여기기 때문에 유럽산 제품을 선호함.

        - 매년 유아용 화장품 고가제품 점유율이 상승하고 있음.

        - Johnson’s Baby는 자체 품질안전인증 시스템인 CPM™(CLINICALLY PROVEN MILDNESS)을 갖추고 있고, Sebamed는 독일의외코테스트(Öko Test)와 엄격한 품질인증 시스템으로 소비자들에게 신뢰를 받으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음. 

     

      ㅇ 유아용 물티슈 빠른 성장세

        - 홍콩은 날씨가 습하고 더워 아이를 땀띠와 세균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는 물티슈 소비량이 많고 시장규모도 빠르게 성장하고 있음. 

        - 홍콩의 한국 물티슈 제품 수입이 증가하는 추세이나 유아용 물티슈의 점유율은 아직 높지 않은 수준임. 한국 제품의 안전성과 품질에 대한 인식이 확산된다면 유아용 제품 시장점유율도 상당 수준까지 높아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됨. 

     

     

    자료원: Euromonitor, 홍콩 통계청, 브랜드 홈페이지, World Green Organization (WGO) 및 KOTRA 홍콩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