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진출 정보

    中 급성장한 찰리우드 현황과 시사점

    - 찰리우드 2010년 이후 연 평균 30% 이상 꾸준히 성장 중 -

    - 한·중 공동제작 또는 온라인시장 배급 등 다각도로 중국 진출 방안 모색 필요 -

     

     

     

    □ 중국 영화시장 12.5 규획기간 연간 성장률 30% 내외 기록

     

      ㅇ 2016년 중국 영화 박스오피스 매출액이 65억 달러를 돌파했으며, 이는 10년간 약 17배 증가한 수치임.

     

    중국 영화 박스오피스 매출액

                                                                        (단위: 억 달러)

    EMB000030c01d5a

    자료원: 중국 국가신문출판광전총국 영화관리국

     

      ㅇ 최근 영화 소비가 여가 트렌드로 자리 잡으면서 젊은 층을 중심으로 매출이 늘어나는 추세임.

        - 광저우 여론조사 기관에 따르면 19~30세의 응답자 중 70%가 영화관에서의 영화 감상에 흥미를 보임, 이는 다른 연령대보다 13%p 높은 수치임.

        - 중국인들의 소비력 향상과 문화 소비 욕구 증가가 영화 소비 증가로 이어짐.

     

      ㅇ 최근 중국 영화시장에서 중국 영화, 미국 영화가 흥행하고 있으며 인기 있는 영화 장르는 코미디, 판타지, 액션 등임.

        - 2016년 박스 오피스 순위를 보면, 중국 영화 '미인어'가 압도적인 매출액으로 1위를 차지했고 그 뒤를 이어 미국 영화가 2, 3위를 차지함.

        - 2015년 중국 박스오피스에서는 TOP 10위권에 7편의 중국 영화와 3편의 미국 영화가 이름을 올림.

        - '미인어'와 같은 코미디, '몬스터 헌트(捉妖)'와 같은 판타지, '워크래프트: 전쟁의 서막'과 같은 액션 영화가 좋은 성적을 거둠.

     

    2016년도 중국 박스오피스 TOP 5

    순위

    영화

    장르

    매출액(억 달러)

    제작국

    감독

    1

    EMB000030c01d5f

    미인어(美人鱼)

    코미디, 판타지

    4.9

    중국

    주성치

    2

    EMB000030c01d60

    주토피아

    애니메이션, 액션

    2.3

    미국

    바이론 하워드,

    리치 무어

    3

    EMB000030c01d61

    워크래프트: 전쟁의 서막

    액션, 모험, 판타지

    2.2

    미국

    던칸 존스

    4

    EMB000030c01d62

    캡틴 아메리카: 시빌 워

    액션, SF, 스릴러

    1.8

    미국

    안소니 루소,

      조 루소

    5

    EMB000030c01d63

    몽키킹2: 서유기 여정의 시작

    (西游记之孙悟空三打白骨精)

    판타지, 액션

    1.8

    중국

    정바오루이

    자료원: 소후

     

    영화 제작편수와 매출액 증가, 중국 정부 영화산업 발전 위해 노력

     

      ㅇ 중국 영화제작편수는 2000년대부터 꾸준히 증가해 2016 944편을 기록했지만 실제 극장에 상영된 영화는 381편에 불과함.

        - 2006년 중국 영화 제작 수는 300편이었으며 10년 동안 제작 편수가 3배 이상 증가한 것임.

        - 2016년 중국 영화는 극영화 772, 애니메이션 49, 과학교육영화 67, 다큐멘터리 32, 특수영화 24편 순으로 제작됨.

        - 정부 검열, 영화의 시장성 등의 문제 혹은 온라인용 영화 제작 증가로 2016년 실제 극장에 상영된 중국 영화 수는 381편뿐임.

     

      ㅇ 중국 시장에서 중국 영화 매출액은 2013년부터 수입 영화를 뛰어 넘었지만, 편당 평균 매출액을 감안하면 중국 영화의 경쟁력이 강화됐다고 보기는 어려움.

        - 중국 국산 영화 매출액은 2016년에 2666000만 위안을 기록하며 전체 매출액의 58%를 차지함.

        - 중국 영화의 편당 평균 매출액은 2012 3600만 위안에서 2016 7000만 위안으로, 수입 영화는 12000만 위안에서 21000만 위안으로 약 2배 증가함.

       - 소비시장의 확대가 영화산업 성장을 견인하고 있으나, 중국의 영화 제작 수준은 아직 낮은 단계로 수입 영화가 시장에서 높은 수익을 거두고 있는 상태

     

    2011~2016년 중국영화 및 수입영화 매출액 비교

                                                                                                (단위: 억 위안)

    EMB000030c01d68

    자료원: 중국 국가신문출판광전총국

     

      ㅇ 톈진 중-싱가포르 생태도시(中新生态城)의 국가3D영시원(国家3D影视园)에서는 3D영화 연구 개발, 촬영, 생산을 모두 일체화해 영화 제작 지원하려고 계획 중임.

        - 화강그룹은 톈진생태도시에 3D영화창의원(3D영화창의기지, 3D영화기술연구원, 3D영화생산기지, 3D영화체험구역 및 기타시설)을 건설하기로 생태도시관리위원회와 계약을 체결함.

     

    □ 영화 배급시장 대형 영화관 주도로 확대, 부가시장인 온라인, IPTV 등도 발전 중

     

      ㅇ 2016년 중국의 영화관 스크린 수는 41000개를 기록했으며 완다(线), 광동따띠(广大地院线)등 10대 영화관의 스크린 수가 전체의 65%를 차지함.

        · 2016 매출액 기준 중국 10대 영화관: 线, 广大地院线, 中影星美院线,上海和院线, 中影南方新干线, 中影字院线, 广州金逸珠江院线, 店院线, 合院线, 浙江代院线

        - 2016년 중국 스크린 수는 미국의 4만759개를 제치고 세계 1위가 됐으며 이는 2016년 매일 평균 25개씩 증가한 것임.

        - 영화관 업계의 1위인 완다가 전체 영화관 매출의 16.7%를 차지하는 등 중국 10대 영화관의 매출액이 전체의 70%에 달함.

        - 중국에서 독자배급사 설립이 금지돼 외국 배급사는 중국의 대형 영화관과의 합자기업 형태로 진출한 상태임.

     

      ㅇ 영화 배급시장의 부가 시장으로 IPTV와 온라인 플랫폼은 발전 초기 상태이나 향후 빠른 발전을 할 전망임.

        - 2016년 중국의 IPTV 가입자 수는 7800만 명으로, 수치 상으로는 많지 않으나 정부의 '삼망융합정책(방송, 통신, 인터넷)'으로 인해 2016 1월에서 10월 사이 증가한 이용자가 3300만 가구임을 감안하면 빠른 성장을 하고 있음.

        - 영화진흥위원회에 따르면 2014년 아이치이(iQiYi)를 시작으로 2015년 하반기에는 7대 온라인 영상 플랫폼이 모두 유료제를 시행하면서 인터넷 유료영화 감상문화가 정착돼가고 있음.

     

    중국 온라인 영상 시장의 매출액 규모와 증가율

                                                             (단위: 억 위안)

    EMB000030c01d6d

    자료원: 엔트그룹(Entgroup)

     

      ㅇ 또 다른 부가 시장으로 오프라인 케이블 TV에 방영권 판매와 DVD 시장이 있으나 매력도가 감소하는 추세임.

        - 중국의 영화 채널인 'CCTV6'에서 영화를 방영하고 있음.

        - 최근 온라인 영화 감상이 보편화돼 DVD는 일부 영화 마니아층만이 구매 및 소장하려고 함.

     

    □ 중국 영화산업, 시장화 발전단계를 거치며 도약 중

     

      ① 1978~1994년: 국가통제시기

        - 신중국 수립 이후 국유영화제작사가 국가 통제에 따라 지정된 수량만큼의 영화를 제작했으며, 영화는 정치이념 선전을 위한 수단으로 이용됨.

        - 개혁개방 이후 중국 영화 제작 편수는 증가하지만 대부분이 다큐멘터리, 과학 및 교육 장르였으며 극영화는 전체 제작 편수의 약 15%였음. 

     

      ② 1994~2001년: 시장화 시기

        - 1994년 14 3중전회 이후 중국 영화산업에도 시장화 바람이 일었으나, 국가 계획생산과 시장 배급 간 충돌이 생김.

        - 영화 투자환경은 어려워지고 이윤은 적어져, 중국 영화 제작편수는 1993년의 753편에 비해 1994년에 384편으로 1년 만에 약 50%가 급감했으며 2001 150편이 되기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함.

     

      ③ 2002~2009년: 산업화 시기

        - 중국은 영화산업의 새로운 개혁단계에 돌입하며 영화산업을 경영성 문화산업으로 인식하기 시작함.

        - 2002년 중국정부는 영화산업조례를 발표하면서 영화산업에 대한 개혁과 산업화를 본격적으로 추진함.

        - 2003년 광전총국에서 '중외합작영화제작관리규정', '영화 제작, 배급, 상영 경영자격 진입 임시 규정' 등을 제정해 민간자본과 해외자본의 영화산업 투자가 시작됨.

     

      ④ 2010년~현재: 고속 성장기

        - 2010년 중국 국무원은 '영화산업 번영과 발전 촉진을 위한 지도 의견(于促进电产业荣发展的指)'을 발표하며 영화산업에 대한 지원을 발표함.

        - 12.5 규획에서 중국 정부는 문화콘텐츠산업의 경쟁력 제고와 영향력 확보를 위한 다방면 지원 계획을 밝혔으며 다양한 정책을 시행함.

        - 2016년 중국영화유한책임회사(国电影股有限公司), 상하이영화유한책임회사(上海影股有限公司) 등 국유문화기업이 성공적으로 상장함.

        - 2017년 3월부터 영화산업과 시장을 규범화하기 위한 영화산업촉진법을 시행함.

     

    □ 중국 정부, 영화산업의 국제경쟁력, 콘텐츠 제작, 지식재산권 등 문제점 파악하고 대응책 강구

     

      ㅇ 중국 영화는 수입영화보다 경쟁력이 약해 중국 정부는 중국 영화산업 보호를 위해 외국영화 수입쿼터제를 실시하고 있음.

        - 2016년 기준 수입영화의 편당 평균 매출액이 중국 영화의 3배임을 보면, 외화 대비 중국 영화의 경쟁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음.

        - 중국 정부는 중국 영화를 제도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한 해 중국에서 상영할 수 있는 외국 영화를 34편의 분장제* 영화, 30편의 매단제** 영화로 제한함.

        * 분장제(): 흥행 수입을 제작, 배급, 상영 주체가 나누어 갖는 방식

        ** 매단제(买断): 일체의 배급권을 파는 방식

     

      ㅇ 중국 영화 제작 콘텐츠 및 기술이 영화 선진국에 비하면 아직 초기단계이지만, 최근 인기소설 등의 IP 확보 경쟁에 나서며 수준 높은 콘텐츠의 영화화를 진행

        - 최근 3~4년간 제작된 중국 영화의 대부분이 고대소설이나 전설에 기반을 둔 SF 영화나 젊은이들의 취향을 반영한 로맨틱 코미디임.

        - 영화 제작사들은 향후 제작할 영화의 콘텐츠를 위해 인기 만화나 소설의 IP를 미리 확보하기 위해 경쟁하고 있음.

        - 중국 정부는 2017년부터 중국 영화 특별장려기금 정책에 따라 매년 심사를 거쳐 내용 및 기술이 우수한 영화에 최대 600만 위안을 지원할 계획

     

      ㅇ 중국에서는 여전히 영화 불법 스트리밍 사이트에 쉽게 접근할 수 있으나, 중국 정부는 지재권 보호를 강화하기 위한 정책을 발표함.

        - 중국 내 영화 불법 다운로드 및 스트리밍 서비스 사이트가 아직도 성행하고 있음.

        - 중국은 2020년 지재권 강국 건설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2015년 중국 국무원에서 '새로운 형세 하 지식재산권 강국 건설 가속화에 관한 국무원 의견(于新形下加快知识产权的若干意)'을 발표

     

    최근 한·중관계 냉각으로 영화 합작 어려움

     

      ㅇ 한국 영화 제작·배급사는 중국에 합자 기업의 형식으로 진출할 수 있으며 한·중 공동영화제작을 하는 경우 중국 영화로 인정됨.

        - 2014년 중국 '외상투자지도목록'에 따라 외국 영화제작·배급사는 독자기업 설립이 불가능하며 지분율 49% 이하의 합자기업만 설립할 수 있음.

        - 2014년 '한·중 영화 공동 제작 협정'과 '한-중FTA'에 의해 한·중 합작 영화는 중국 영화로 인정받아 외국영화 수입쿼터제의 적용 대상이 아님.

     

      ㅇ 한·중 양국의 영화 산업은 2000년대 초반부터 교류를 시작해 꾸준히 증진시켜 왔으며 최근 트렌드는 한·중 공동투자 및 제작의 형태임.

        - 2000~2006년: 중국 영화 '비천무'에 신현준, 김희선이 출연하며 한·중 영화 합작이 발전하기 시작함. 이 시기에는 단순히 해외 배우 출연으로 극의 재미를 더하는 수준이었음.

        - 2007~2014년: 2007년 중국 영화 '집결호'의 특수효과를 한국 업체가 담당하며 한·중 영화 산업의 인력, 기술적 교류가 이루어지기 시작함.

        - 2014년~현재: '한·중영화공동제작협정'으로 한·중 영화 교류는 심화됐음. '수상한 그녀'의 경우 같은 시나리오로 각국의 특색에 맞게 각색돼 양국에서 좋은 성적을 거두었으며 '메이킹패밀리'의 경우 한·중 배우가 공동주연을 맡은 형태임.

     

    동일 시나리오로 제작된 '수상한 그녀()'와 '20세여 다시 한번()'

    external_image

    자료원: 바이두

     

      ㅇ최근 한·중 양국의 정치적 문제로 인해 한·중 영화 합작에 제동이 걸린 상태이나 한·중 관계 해빙 징조에 따라 문화계 교류도 회복될 것으로 보임.

        - 최근 한·중 관계가 냉각됨에 따라 중국 영화사 측에서는 굳이 한국 제작진을 기용해 정부의 눈치를 볼 필요가 없다는 분위기가 팽배함.

        - 최초의 한국 뮤지컬 원작인 ‘미용명가’는 한·중 합작영화로 기대를 모았지만 사드의 영향을 받고 제작이 중단됨.

        - 한국 신정부 출범 이후 한·중 양국 정부는 관계 개선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내고 있음.

     

    □ 한국 영화산업은 한·중 영화공동제작과 온라인 플랫폼 방식으로 중국 시장 진출 필요

     

      ㅇ 중국 영화 산업은 시장 잠재력을 바탕으로 성장해 2017년 박스오피스 매출액은 80억 달러에 달할 전망임.

         - 중국 광전총국의 농촌 영화 관람 환경 개선 정책으로 3·4선 도시의 영화 매출액이 증가할 전망임.

         - 2016년 중국의 1인당 연간 평균 영화 관람 횟수는 연 1.8회로 한국의 4.2, 미국 3.64회에 비하면 초기 발전단계 수준이지만 이는 시장 잠재력이 충분하다는 반증임.

        - 2017년 설 연휴기간 박스오피스 흥행 수익은 8억 위안(12000만 달러)으로 2016년 설 연휴기간 64000만 위안(9000만 달러) 대비 24% 증가함.

     

      ㅇ 영화산업촉진법의 시행으로 촬영 제작 허가제 폐지 등의 절차 간소화가 이루어져 중국영화의 제작 환경은 유연해질 것이나 내용상의 규제는 여전할 것으로 보임.

        - 기존의 영화제작사 심사제와 '영화 촬영 제작 허가증' 심의 등이 폐지돼 중국 영화 제작이 활성화 될 전망임.

        - 중국 문화산업 영역의 최초 전문 법률로서 의의를 가지나 영화산업은 중국인민과 사회주의를 위한 것이라고 명시하며 영화 제작 소재 선정의 여전한 한계를 암시함.

     

      ㅇ 한·중관계가 회복돼도 중국은 자국 영화 산업 발전을 위해 수입영화 견제를 견지할 것이므로 중국 진출 시 한·중영화공동제작의 방식을 고려해야 함.

        - 중국은 자국 콘텐츠 산업 발전을 위해 중국영화 보호를 위한 외국영화 수입쿼터제를 유지할 전망임.

        - 2014년 '한·중공동제작협정' 체결로 한·중 합작 영화는 중국에서 중국영화로 인정받을 수 있으므로 한·중영화합작의 방법으로 중국 시장 진출을 타진할 필요가 있음.

        - 한국 영화 산업은 중국 영화의 콘텐츠, 제작 기술 등 부족한 점에 협력기회가 많으며 인기 한류 배우가 출연하는 등의 방식으로도 협력할 수 있음.

     

      ㅇ 중국의 온라인 영화 시장 또한 크게 발전하고 있으므로 한국 영화의 중국 온라인 시장 진출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음.

        - 온라인 시장의 경우 극장상영보다 심사 절차가 간편하고 수입쿼터제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강점이 있음.

        - 비교적 낮은 비용과 리스크 때문에 극장에 출품하는 제작사 398개사보다 많은 846개사가 온라인용 영화 시장에서 활동 중임.

     

     

    자료원: 중국 통계국, 중국광전총국, 예은미디어, 엔트그룹, 영화진흥위원회, 기타 한·중 언론 및 KOTRA 톈진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