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진출 정보

    중국 모바일 게임시장 진출, 이 점을 유의해라

    - 모바일 게임시장의 성장과 함께 중국 정부의 법 규정 신설 등 관리 강화 -

    - 중국 기업과 공동개발현지 마케팅 지원 등 다양한 협력채널 구축 필요 -

     

     

     

    □ 중국의 인터넷 및 스마트폰 사용현황

     

      ㅇ 인터넷 및 스마트폰 보급을 통해 중국은 최적의 인터넷 사용 환경 구축

        - 중국 인터넷정보센터(CNNIC, 互联网络信息中心)에 따르면 2016년 기준 중국의 인터넷 보급률은 51.7%이고 네티즌 수는 약 7억 명으로 중국은 세계 최대 인터넷 사용국임.

        - 중국 음향데이터출판협회(GPC, 中国音数协游戏工委), 중신게임연구소(CNG, 中新游戏研究), 국제데이터(IDC, 国际数据公司)가 공동으로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의 스마트폰 보급률은 58%로 중국 내 스마트폰 사용자 수는 약 7억 명으로 추정됨.

     

    □ 중국 모바일 게임 시장을 주목하는 이유

     

      ㅇ 중국의 인터넷 사용 환경 덕분에 중국 게임시장은 급속히 성장 중

        - 중국 시장조사기관 아이리서치(iResearch艾瑞咨)는 2016년 중국의 게임시장 규모는 약 1700억 위안으로 중국 게임시장은 최근5년간 3배 이상 급성장한 세계 최대 시장이라고 분석함.

     

      ㅇ 게임산업 매출 중 모바일 게임 매출전체 매출의 56.3% 차지

        - 중국 음향데이터출판협회(GPC, 中国音数协游戏工委)는 중신게임연구소(CNG, 中新游戏研究), 국제데이터(IDC, 国际数据公司)이 공동 발표한 '2017년 상반기 중국 게임산업 보고서'에 따르면 2017년 상반기 게임산업 매출은 997억 위안을 기록함. 그 중 모바일 게임 매출은 561억 위안으로 전체 56.3%를 차지함.

        - 그동안 중국 인터넷 및 게임산업이 누렸던 인구 보너스 효과는 점점 사라질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매출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모바일 게임시장의 변화를 눈여겨볼 필요가 있음.

     

      ㅇ 중국산 스마트폰 보급 확대와 함께 모바일 게임 매출도 증가 예상

        - 중국 현지 스마트폰 생산기업인 OPPO, vivo, 화웨이샤오미메이주의 중국 내 스마트폰 시장점유율이 커지고 있음.

        - 이용자는 주로 스마트폰 앱스토어를 통해 모바일 게임을 접하게 되는데 중국산 스마트폰과 연동된 앱스토어는 모바일 게임 매출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보임.

        - 모바일 게임에 가입한 이용자 1명당 평균 결제액을 나타내는 APRU(Average Monthly Revenue Per Unit)는 계속 증가함.

       

    □ 중국 모바일 게임시장의 특징

     

      ㅇ PC 게임 강자가 모바일 게임에서도 시장점유율 우위

        - 매출 규모 상위 2개사가 전체 게임시장 매출의 51%를 차지함.

        - 텐센트(Tencent), 왕이(NetEase)는 적극적인 M&A를 통해 PC와 모바일 게임 분야에서 절대적인 시장점유율을 가지고 있음.

        - 텐센트왕이샨다, 37엔터테인먼트완미세계왕롱 유주네트워크 등 매출규모 상위 10개사가 전체 시장의 80%를 차지하고 있음.

     

      ㅇ 스마트폰 운영체제와 앱스토어의 이원화

        - 스마트폰에 따라 지원가능한 운영체제(안드로이드, iOS )의 앱스토어는 텐센트(腾讯)치후360(奇虎 360), 360모바일어시스턴트 (360手机助手), 바이두모바일어시스턴트(百度手机助手등 여러 플랫폼으로 나눠져 있음.

        - 178게임역(178游戏站)에 따르면 중국 스마트폰 이용자의 85%가 안드로이드 운영체제를 사용하고, 14.7%가 아이오에스(iOS)를 사용하고 있으며 나머지는 기타 운영체제를 사용하고 있음.

     

      ㅇ 외국기업이 직면하는 시장진입 장벽

        - 외국기업은 게임제작사로 중국시장에 진출할 수 있지만 게임운영사(퍼블리셔)로 참여할 수 어려움. 중국 현지 게임운영사(퍼블리셔)를 통해서 중국에 진출하고 있음.

        - 게임제작사는 게임을 개발한 기업으로 소프트웨어에 대한 저작권을 가지고 있고 게임운영사(퍼블리셔)는 실제 게임을 앱스토어 또는 다른 플랫폼을 통해 유통시키는 역할을 함.

        - 중국 내자법인은 인터넷을 이용한 문화콘텐츠 보급 및 영리사업을 하기 위해서 필요한 인터넷문화산업경영허가증을 보유해야 할 수 있어 게임제작부터 유통까지 도맡을 수 있음.

        - 2014년 경쟁사에 비해 늦게 모바일 게임시장에 뛰어들은 알리바바게임즈는 해외 게임이 중국에 정식으로 서비스를 출시하도록 돕는 퍼블리싱 역할에 집중하고 있음.

        - 국내 언로보도에 따르면 국내 스타트업 Y사는 알리바바게임즈와 함께 국내 모바일 게임기업의 중국시장 진출을 지원하고 있음.

     

      ㅇ 중국에 불어오는 저작권 보호의 움직임

        - 중국 게임시장은 불법 복제 게임 출시로 인한 저작권 침해 문제가 심각함.

        - 이에 중국 문화부는 인터넷 방송경영활동관리방법(网络表演经营活动管理办法)를 통해 게임 출판 업체는 게임 시작 화면에 저작권자와 출판업체어가번호 등 국가신문출판광정총국에서 비준한 정보를 표기하도록 강제함.

        - 이는 중국 게임시장이 성숙기에 접어들었고 중국 기업의 기술 수준이 많이 향상됐기 때문에 저작권 보호에 대한 움직임은 중국 당국에서 게임산업의 건전한 발전을 추구하겠다는 의지로 비춰짐.

     

    □ 중국에 진출한 주요 한국 모바일 게임

     

      ㅇ 한국 대형 모바일 게임 기업부터 중소형 기업까지 진출

        - 2000년 후반부터 컴투스넥슨 등 한국 대형 게임기업이 중국에 진출하기 시작하면서 2010년 이후 엠씨드 등 중소 게임사들의 중국 진출이 이어짐.

     

    카트라이더(跑跑卡丁车)

    컴투스(Com2uS)*는 넥슨모바일과 중국 퍼블리싱 계약을 맺고 중국 이동통신사인 차이나모바일을 통해 2007년부터 중국 서비스를 시작

    * 1999년 설립된 우리나라 대표 모바일 콘텐츠 개발 및 공급업체

    - 중국 현지법인 레이모바일을 통해 중국 시장 맞춤형 서비스 개발

     더 소울(The Soul, 櫻化三國)

    - NHN엔터테인먼트는 중국 스네일게임즈와 퍼블리싱 계약을 맺고 2015년 치후360,바이두 등 40여 개 앱스토어를 통해 서비스 제공

    - 중국 진출 당시 모바일 RPG게임 중 최고 수준의 계약 건으로 주목을 받음

    리니지 레드나이츠(Lineage Red Nights) 

     

    엔시소프트는 중국 알파게임즈와 퍼블리싱 계약을 맺고 2016년 리니지 레드나이츠 수출에 성공

    리니지는 한국중국 외 대만미국 등에도 출시되며 가치를 인정받음

    아케인소울(Arcane Soul) 

    엠씨드는 중국 스네일게임즈와 2015년 퍼블리싱 계약을 맺고 중국에 진출한 후2000만 다운로드 건수를 돌파하는 등 큰 성공을 거둠

    극한의 타격감과 화려한 액션으로 중국 소비자의 호평을 받음

    자료원언론보도 종합

     

     

    □ 한국 게임기업의 중국 진출 시 유의사항

     

      ㅇ 한국 게임기업이 중국 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국가신문출판광전총국(国家新闻出版广播电影电视总局)의 심사 및 동의,승인 과정 필요

        - 승인 후 중국 현지 게임 서비스 허가권인 판호(版号)가 발급됨.

        - 최근 중국 당국은 한국 게임에 대한 검열을 강화하면서 수출 기업이 판호를 받는 시간이 길어지고 있음.

        - 중국 내 인터넷 출판 허가권을 가진 퍼블리셔를 통해 판호를 발급받으면 시간을 절약할 수 있음.

     

      ㅇ 중국 정부는 법 규정 신설을 통해 게임 관련 기업에 대한 관리 강화

        - 중국 문화부는 모바일 게임 기업이 콘텐츠로 활용할 수 없는 내용을 정해 준수 여부를 확인하고 심의 및 저작권 번호 부여 등을 하고 있음.

        - 해외에서 수입된 모바일 게임은 중국 모바일 게임에 적용되는 승인절차 외에 추가 검증이 이루어짐.

        - 중국 진출 시 검토할 사항이 많아 전문 인력이 부족한 중소형 게임사에는 부담이 되고 있음.

     

      ㅇ 모바일 게임 특성 상 게임수명이 비교적 짧기 때문에 지속적인 후속작 준비 필요

        - 텐센트넷이즈바이두 등 인지도가 높은 현지 퍼블리셔를 통해 현지 진출에 성공했다고 하더라도 역동적인 모바일 게임시장의 특성 상 중국 시장에서 계속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항상 후속작에 대한 연구 개발이 필요함.

     

    □ 전망 및 시사점

     

      ㅇ 중국 기업과 공동개발 및 현지화마케팅 지원 등 다양한 협력채널 구축

        - 중국 모바일 게임 시장에서 한국 게임이 무조건 성공하는 시대는 지남.

        - 중국 기업 간 경쟁이 치열하기 때문에 중국 기업과 협업을 통해 중국 시장에 진출할 수 있음.

        - 카카오게임즈는 중국 게임기업 넷이즈와 함께 한국 게임의 중국 퍼블리싱을 지원하면서 '음양사' 등 중국게임의 한국 내 서비스 출시를 지원하고 있음.

        - SK플랫닛도 치후360과 전력적 업무협약을 통해 각자의 앱스토어를 통해 한중 양국의 모바일 게임을 퍼블리싱하고 있음.

     

      ㅇ 중국 모바일 게임 시장의 규범화에 따른 대비

        - 중국 정보는 관리규정 신설을 통해 그동안 공공연히 통용돼 오면 판호 및 저작권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고 있음.

        - 자격을 갖춘 기업에 허가를 내주고 향후 외국 기업에 대한 관리가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규정에 따라 허가를 받는 것이 바람직함.

        - 중국 내에서만 통용되는 규범과 콘텐츠 내용이 있기 때문에 게임 배경그래픽사운드 등 다방면에서 중국 시장에 맞춘 현지화가 무엇보다 중요할 것으로 예상됨.

     

     

    자료원: 왕이뉴스, 텅쉰게임, 배두, 중관촌뉴스, 셔구뉴스, iDonews 및 KOTRA 다롄 무역관 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