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진출 정보

    중국 패션산업 현황과 전망

    - 온라인 쇼핑의 성장 그리고 신유통(新零售) - 
    - 여성복, 스포츠웨어시장 전망 비교적 밝아 -

     

     

     

     

    □ 중국 패션산업 현황

     

     

      ㅇ 의류 및 신발류 판매량 
        - 2016년 중국 의류 판매량은 전년대비 약 4.4% 증가한 406억 벌을 기록함. 2011~2016년 연평균성장률 5.3% 비해 다소 감소세를 보이고 있지만 판매량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음.
        - 2016년 신발류 판매량은 전년대비 5.4% 증가한 3억 켤레를 기록함. 신발류 역시 2011~2016년 연평균 성장률 6.3%에 비해 2016년 증가율은 다소 낮지만 판매량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음.

     

    중국 의류 및 신발류 판매량
    (단위: 십만 위안)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의류

    31,342

    33,986

    35,810

    37,142

    38,915

    40,613

    신발류

    2,748

    2,929

    3,143

    3,344

    3,539

    3,729

    의류 및 신발류

    34,090

    36,910

    38,953

    40,486

    42,454

    44,343

    자료원: 유로모니터, KOTRA 선전 무역관 정리

     

    external_image

     자료원: 유로모니터, KOTRA 선전 무역관 정리

     

      ㅇ 의류 및 신발류 매출액  
        - 2016년 중국 의류 매출액은 전년대비 5.1% 증가한 1조7970억 위안을 기록함. 2011~2016년 연평균 성장률(6.9%)보다 다소성장 폭은 줄었지만 매출액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 의류 매출액 중 스포츠웨어 매출액이 큰 폭으로 증가함. 스포츠웨어 매출액은 전년대비 11.8%가 증가한 1866억 위안을 기록함.   
        - 2016년 신발류 매출액은 전년대비 2% 증가한 3609억 위안을 기록함. 2011~2016년 연평균 성장률 6.7%에 비해 감소 폭이 큼.

     

    중국 의류 및 신발류 매출액
    (단위: 십억 위안)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의류

    1,286

    1,417

    1,527

    1,622

    1,710

    1,797

    신발류

    260

    290

    320

    341

    354

    360

    스포츠웨어

    141

    139

    134

    148

    166

    186

    의류 및 신발류

    1,546

    1,708

    1,848

    1,964

    2,064

    2,158

    자료원: 유로모니터, KOTRA 선전 무역관 정리     

     

    external_image

     자료원: 유로모니터, KOTRA 선전 무역관 정리


      ㅇ 중국 내 주요 브랜드 별 판매 현황
        - 나이키, 아디다스, Anta, Lining 등 스포츠웨어의 점유율이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Uniqolo, H&M 등 패스트 패션브랜드의 약진이 두드러짐. 

     
    매출액 기준 브랜드별 의류 및 신발류 시장점유율

    (단위: %)

    브랜드명

    NBO(Natioanl Brand Owner) 기업명

    2013

    2014

    2015

    2016

    Nike

    Nike(China) inc

    1

    1.1

    1.3

    1.5

    adidas

    adidas sports(China)

    1

    1.1

    1.1

    1.3

    Helian Home

    Helian Home

    0.6

    0.9

    1.1

    1.2

    Uniqlo

    Uniqlo China 

    0.4

    0.5

    0.6

    0.8

    Anta

    Anta China

    0.6

    0.6

    0.7

    0.8

    Jack&Jones

    Bestseller Fashion

    0.6

    0.6

    0.6

    0.6

    La Chapelle

    Shanghai La Chapelle

    0.4

    0.4

    0.5

    0.5

    Li Ning

    Li Ning Co Ltd

    0.3

    0.4

    0.4

    0.5

    H&M

    H&M Hennes & Mauritx AB

    0.3

    0.4

    0.5

    0.4

    Xtep

    Xtep Inetrnational Holdings Ltd

    0.4

    0.4

    0.4

    0.4

    Peacebird

    Ningbo Peacebird Goup Co Ltd

    0.3

    0.4

    0.4

    0.4

    Belle

    Belle International Holdings Ltd

    0.5

    0.5

    0.5

    0.4

    Semir

    Semir Group Co Ltd

    0.4

    0.4

    0.4

    0.4

    Vero Moda

    Bestseller Fashion Group(Tianjin) Co Ltd

    0.4

    0.4

    0.4

    0.4

    Only

    Bestseller Fashion Group(Tianjin) Co Ltd

    0.4

    0.4

    0.4

    0.4

    Zara

    Inditex Group China

    0.3

    0.4

    0.4

    0.4

    Balabala

    Semir Goup Co Ltd

    0.2

    0.3

    0.3

    0.4

    New Balance

    New Balance Trading(China) Co Ltd

    0.2

    0.3

    0.3

    0.4

    Metersbonwe

    Shanghai Metersbonwe Fashion & Accessories Co Ltd

    0.5

    0.4

    0.4

    0.4

    Cosmo Lady

    Cosmo Lady China Holdings Co Ltd

    0.2

    0.3

    0.4

    0.3

    361 Degrees

    361 Degrees International Ltd

    0.3

    0.3

    0.3

    0.3

    Ochirly

    Trendy Group International Holdings Ltd

    0.3

    0.3

    0.3

    0.3

    Romon

    Ningbo Romon Group Co Ltd

    0.3

    0.3

    0.3

    0.3

    Bosideng

    Bosideng International Holdings Co Ltd

    0.4

    0.3

    0.3

    0.3

    Yishion

    Dongguan Dongyue Caparison Co Ltd

    0.3

    0.3

    0.3

    0.2

    Aokang

    Aokang Group Co Ltd

    0.2

    0.2

    0.2

    0.2

    Youngor

    Youngor Group Co Ltd

    0.3

    0.3

    0.2

    0.2

    Tata

    Belle International Holdings Ltd

    0.2

    0.2

    0.2

    0.2

    Erke

    Hongxing Erke Group

    0.3

    0.3

    0.2

    0.2

    Converce

    Nike(China) Inc

    0.2

    0.2

    0.2

    0.2

    기 타

    기타

    88.2

    87.4

    86.4

    85.6

    총계

    100

    100

    100

    100

    자료원: 유로모니터, KOTRA 선전 무역관 정리

     

    매출액 기준 NBO 기업별 의류 및 신발류 시장점유율

    (단위: %)

    NBO(Natioanl Brand Owner) 기업명

    2013

    2014

    2015

    2016

    Nike(China) Inc

    1.3

    1.4

    1.7

    1.9

    Bestseller Fashion Group(Tianjin) Co Ltd

    1.6

    1.6

    1.6

    1.6

    adidas Sports(China) Ltd

    1.1

    1.1

    1.3

    1.4

    Heilan Home Co Ltd

    0.6

    1

    1.1

    1.3

    Belle International Holdings Ltd

    1.3

    1.3

    1.2

    1.2

    Anta(Chiana) Co Ltd

    0.6

    0.7

    0.8

    0.9

    Uniqlo China Co Ltd

    0.4

    0.5

    0.6

    0.8

    Semir Group Co Ltd

    0.6

    0.7

    0.7

    0.8

    Inditex Group China

    0.5

    0.5

    0.5

    0.6

    E-land Fashion China Holdings Ltd

    0.5

    0.5

    0.5

    0.5

    Shanghai La Chapelle Fashion Co Ltd

    0.4

    0.5

    0.5

    0.5

    H&M Hennes & Mauritx AB

    0.3

    0.4

    0.5

    0.5

    Li Ning Co Ltd

    0.4

    0.4

    0.4

    0.5

    Xtep Inetrnational Holdings Ltd

    0.4

    0.4

    0.4

    0.4

    Ningbo Peacebird Goup Co Ltd

    0.3

    0.4

    0.4

    0.4

    Shanghai Metersbonwe Fashion & Accessories Co Ltd

    0.6

    0.4

    0.4

    0.4

    New Balance Trading(China) Co Ltd

    0.2

    0.3

    0.3

    0.4

    Trendy Group International Holdings Ltd

    0.3

    0.3

    0.3

    0.3

    Cosmo Lady China Holdings Co Ltd

    0.2

    0.3

    0.4

    0.3

    Bosideng International Holdings Co Ltd

    0.6

    0.4

    0.4

    0.3

    361 Degrees International Ltd

    0.3

    0.3

    0.3

    0.3

    Ningbo Romon Group Co Ltd

    0.3

    0.3

    0.3

    0.3

    VF Asia Ltd

    0.2

    0.3

    0.3

    0.3

    Dongguan Dongyue Caparison Co Ltd

    0.5

    0.4

    0.3

    0.3

    Aokang Group Co Ltd

    0.3

    0.3

    0.3

    0.2

    Beijing Aimer Lingerie Co Ltd

    0.2

    0.2

    0.2

    0.2

    Youngor Group Co Ltd

    0.2

    0.2

    0.2

    0.2

    Hongxing Erke Group

    0.3

    0.3

    0.2

    0.2

    Texwinca Holdings Ltd

    0.3

    0.3

    0.2

    0.2

    Others

    84.9

    84.1

    83.2

    82.4

    총계

    100

    100

    100

    100

    자료원: 유로모니터, KOTRA 선전 무역관 정리

     

     2017년 광군제 당일(11.11.) 티몰 내 의류 브랜드별 판매 순위 Top 10

    순위

    남성의류

    여성의류

    아웃도어

    1

    HLA(海澜之家)

    Uniqlo(优衣库)

    Nike(耐克)

    2

    Uniqlo(优衣库)

    VERO MODA

    adidas(阿迪达斯)

    3

    GXG

    ONLY

    ANTA(安踏)

    4

    PEACEBIRD(太平鸟)

    Eifini(伊芙丽)

    NEW BALANCE

    5

    JACK & JONES(杰克琼斯)

    HSTYLE(韩都衣舍)

    Lining(李宁)

    6

    PLABOY(花花公子)

    PEACEBIRD(太平鸟)

    Skechers(斯凯奇)

    7

    Semir(森马)

    Bosideng(波司登)

    Puma(彪马)

    8

    Mark Fairwhale(马克华菲)

    乐町

    XTEP(特步)

    9

    Metes Bonwe(美特斯邦威)

    ochirly(欧时力)

    Under Armour(安德玛)

    10

    Bosideng(波司登)

    Teenie Weenie

    Camel(骆驼)

    자료원: 新浪科技, KOTRA 선전 무역관 정리

     

    □ 중국 여성복시장

     

      ㅇ 꾸준히 성장하는 여성복시장 
        - 중국 산업정보(中国产业信息)에 따르면 중국 여성복 시장규모는 2010년 5329억 위안에서 2016년에 8728억 위안으로 성장함.
        - 2010-16년 평균성장률은 8.57%이나 증가 속도는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임. 2011년 시장규모 성장률은 14.89%였으나 점차 감소해 2016년에는 5.3%를 기록함.
        - 2016년 중국 여성복 시장규모는 전체 의류산업의 48.57%를 차지해 남성복(28.56%), 유아복(8.04%)보다 높은 점유율을 차지함.

     

    external_image
    자료원: 중국 산업정보(中国产业信息), KOTRA 선전 무역관 정리


      ㅇ 중국 내 여성복 시장 카테고리별 특징 
        - 국제 명품 브랜드: CHANEL, DIOR, LV, BURBERRY 등 글로벌 기업 진출
        · 명품 이외에 중국 의류시장은 고급 여성복(高端女装), 패스트패션(快时尚), 20~30대 여성복(少女少淑装), 캐주얼(传统休闲), 온라인 쇼핑(网购女装) 등으로 구분할 수 있음.
        - 캐쥬얼 브랜드: 2000대년 초 비교적 인기가 많았으나 동종 타 사 브랜드 출현으로 인해 가격 경쟁력을 상실했으며 패스트패션, 온라인 쇼핑 출현에 따라 경쟁력을 잃고 있는 추세임.
        - 20~30대 여성복(컨템포러리): 20~30대 여성복 브랜드는 주요 여성복 시장 내 점유율을 점차 넓혀가고 있음. 해외 브랜드가 강세를 보이고 소득 증가에 따라 많은 젊은 여성이 국제 명품 브랜드의류를 선택하고 있어 경쟁 역시 점차 심화되고 있음. 
        - 패스트패션: 주요 거대 패스트패션 해외브랜드가 자본, 영업 경험 및 노하우 등 우세를 등에 업고 지속적으로 시장점유율을 넓혀가고 있음.
       - 온라인 쇼핑: 다수 오프라인 브랜드가 온라인 플랫폼에 입점하면서 온라인 판매량은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지만 보세 물건들은 품질 문제가 종종 발생함.
        - 고급 여성복 시장: 다수 브랜드가 경쟁하고 있으나 시장 규모는 지속적으로 성장 중

     

    유형

    캐주얼

    20~30대 여성복

    패스트패션

    온라인 쇼핑

    고급 여성복

    주요

    유통채널

    전문매장(체인),

    백화점 및 쇼핑몰  

    백화점 및 쇼핑몰

    백화점 및 쇼핑몰

    인터넷

    백화점 및 쇼핑몰

    중국

    브랜드

    美邦, 森马,

    真维斯 등

    歌莉娅,

    自由鸟 등

    美邦 등

    韩都衣舍 등 수많은

    온라인 플랫폼

    입점 브랜드 

    Marisfrolg,

    Ellassay, Yiner,

    Lancy 등

    해외

    브랜드

    佐丹奴, 佑威,

    堡狮龙 등

    ONLY, VEROMODA,

    ETAM 등

    ZARA, UNIQLO,

    H&M 등

    ONLY 등

    온라인 플랫폼에

    입점 브랜드 

    MAXMARA,

    MIUMIU, MARNI 등

     

    □ 중국 스포츠웨어시장

     

      ㅇ 스포츠웨어 브랜드의 약진 
        - 중국 전망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이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 스포츠웨어 시장은 2003년 이래 급속도로 성장
        - 2003년 스포츠웨어 시장규모는 162억 위안이었으나 2012년에는 1220억 위안을 기록함. 2016년은 전년대비 11% 증가한 1870억 위안의 시장규모를 달성함.

     

    external_image

     자료원: 전망산업연구원(前瞻产业研究院), KOTRA 선전 무역관 정리

     

        -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미국인과 유사하게 중국인 역시 운동복을 단순히 운동시에만 착용하지 않고 일상생활(40%), 쇼핑 시(42%), 집 근처 용무 시(39%), 외식 혹은 영화 관람 시(33%)에도 착용한다고 대답함.
        - 전국방직망(全球纺织网)에 따르면, 운동 시 중국인이 가장 좋아하는 원단은 순면(47%), 면혼방(20%), 인조견사(7%), 폴리에스테리(4%) 순임.
        - 브랜드별 의류 및 신발류 시장점유율에서 살펴 볼 수 있듯이, 스포츠웨어의 브랜드의 약진이 두드러짐. 특히 나이키, 아디다스, 안타, 리닝 등 브랜드의 점유율이 상위권을 기록하고 있으며 점유율 역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음. 나이키는 광군제 당일 T-MALL 플랫폼에서 1분 내 1억 위안이 넘는 매출액을 기록했으며 역사상 처음으로 10억 위안 매출을 기록한 브랜드로 기록됨. 광군제 당일 3위를 차지한 ANTA사 매출액 역시 전년대비 66% 증가한 6억7000만 위안을 기록함. ANTA사는 특히 농구 시장규모가 큰 중국 농구 매니아층을 겨냥해 NBA 유명선수인 Klay Thompson, Keving garnett 등을 브랜드 홍보에 이용해 시장점유율을 높여가고 있음. 
        -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NBO 기준, 2016년 나이키(China)사의 스포츠웨어시장 점유율이 22%로 1위를 차지함. 아디다스는 16.7%, Anta사는 10.3%, LiNing사는 5.6%로 그 뒤를 이음. 브랜드(LBN) 기준으로는 나이키(Inc) 17.1%, 아디다스가 15.1%, Anta사가 9.5%를 기록함. 나이키(China)의 브랜드 Converse는 2.4%, Nike Kids는 1.5%를 각각 기록함.  


    주요 브랜드별 스포츠웨어 시장점유율(매출액 기준)

    브랜드명

    NBO(Natioanl Brand Owner) 기업명

    2013

    2014

    2015

    2016

    Nike(Nike inc)

    Nike(China) inc

    14.1

    14.7

    15.9

    17.1

    Adidas

    Adidas(Adidas group)

    14

    13.8

    14.2

    15.1

    Anta

    Anta(China) 

    8

    8.4

    9

    9.5

    Li Ning

    Li Ning 

    4.8

    4.9

    5.1

    5.2

    xtep

    xtep internatioanl

    5.1

    5.3

    5.2

    4.9

    New balance

    New balance trading(china)

    2.6

    3.6

    3.9

    4.1

    361 degrees

    361 degrees international

    3.8

    3.7

    3.7

    3.4

    자료원: 유로모니터, KOTRA 선전 무역관 정리   

     

    나이키(CHINA)사 중국 내 영업전략

     

    ㅇ 소매 마케팅 전략
      - 2014년 기준 나이키(CHINA)는 6700개의 나이키 매장, 2000개의 CONVERSE 매장, 150개의 NIKE GOLF 매장을 보유함. 2015년부터 유아용 및 젊은 층을 겨냥한 새로운 형태의 비즈니스를 추구함. 나이키 차이나는 러닝, 농구용품을 주력 품목으로 선정(약 40%)
      - 여성복 역시 나이키사가 집중하는 것으로 보임. 2014년 상하이에 처음으로 여성 전용 매장을 설립함. 여성 소비자를 위한 NIKE+RUNNING CLUB 이나 NIKE+TRANING CLUB 코스 등 다양한 스포츠 체험 프로그램도 준비함.
      - 나이키사는 APPLE사 및 여러 가지 신기술 업체와의 콜라보레이션을 통해 새로운 트랜드를 이끌어 가고 있음. 이로서 나이키사는 스포츠웨어 브랜드중 중상-상위권에 브랜드 포지셔닝을 유지함.

     

    ㅇ 온라인 전략
      - 나이키는 정식 온라인 채널과 T-MALL 플래그십 스토어를 운영함. 정식 온라인 채널에서는 오프라인매장에서 판매되는 제품과 동일한 가격으로 물건을 진열함. 반면 T-MALL 플래그십스토어에서는 신규제품뿐만 아니라 할인된 제품도 판매함.

     

    2010~2017년 NIKE사 중국 내 시장규모 및 증감률

    (단위: 백만 달러, %)

    external_image
    자료원: Wind

     

    □ 중국 내 의류판매 유통구조

     

      ㅇ 성장하는 온라인 채널, 축소되는 오프라인 채널 
        - 2011년 기준 중국의 의류의 37.5%가 주요 백화점을 통해 유통되는 반면에 약 3.5%만이 온라인을 통해 유통됨.
        - 백화점 유통 비중은 2015년까지 30%대를 유지했으나 점차 점유율이 감소해 2016에는 약 25%를 기록함. 반면 온라인 유통은 매년 급성장하며 2016년에는 약 26%를 기록, 백화점을 초과함.
        - 의류 및 신발 판매 전문매장(대리점) 수는 6년간 큰 변화를 보이지 않음. 
        - Carrefour, Wall-Mart와 같은 하이퍼 마켓의 의류 및 신발류 유통량은 2011년 6.1%에서 매년 지속적으로 감소, 2016년은 4.4%를 기록함.

     

    의류 및 신발류 유통구조별 점유율(2016년 판매량 기준) 

    (단위: %)

    구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오프라인 

    96.5

    92.4

    89

    84.3

    79

    74

        - 대형 슈퍼마켓(hyper market)

    6.1

    6

    5.6

    5.2

    4.8

    4.4

        - 의류 및 신발 판매 전문매장

    22

    23.4

    24.4

    24.2

    24.1

    23.9

        - 레저 및 개인용품 판매 전문매장

    18.1

    17.5

    17.4

    17.4

    17.8

    18.4

        - 백화점

    37.5

    36.8

    36.3

    33.5

    29.5

    25.7

     온라인 

    3.5

    7.6

    11

    15.7

    21

    26

        - 온라인 쇼핑

    3.4

    7.5

    10.9

    15.6

    20.9

    25.9

        - 홈쇼핑

    0.1

    0.1

    0.1

    0.1

    0.1

    0.1

    총계

    100

    100

    100

    100

    100

    100

    자료원: 유로모니터, KOTRA 선전 무역관 정리

     

    2016년 의류·신발류·스포츠웨어 카테고리별 유통구조 점유율(2016년 판매량 기준) 
    (단위: %)

    구분

    의류

    신발류

    스포츠웨어

     오프라인 

    73.6

    75.9

    77.4

        - 대형 슈퍼마켓(hyper market)

    4

    6.1

    6

        - 의류 및 신발 판매 전문매장

    24.7

    20

    6.4

        - 레저 및 개인용품 판매 전문매장

    11.5

    12.5

    0

        - 스포츠 용품 판매 전문매장

    6.5

    7.6

    48.8

        - 백화점

    24.9

    29.4

    14.1

        - 기타

    2

    0.1

    2.2

     온라인 

    26.4

    24.1

    22.6

        - 온라인 쇼핑

    26.3

    24

    22.5

        - 홈쇼핑

    0.1

    0.1

    0.1

    총계

    100

    100

    100

    자료원: 유로모니터, KOTRA 선전 무역관 정리

     

        - 중국 E-commerce research center에 따르면 2016년 온라인 의류 거래액은 9340억 위안으로 근 5년간 복합성장률은 36%를 기록함.

     

    중국 의류시장 거래액(volume of transaction)

    external_image
    자료원: E-commerce research center

     

        - 또한 2017년 2분기에 Prosper China에서 진행한 조사에 따르면 약 36%의 응답자가 온라인을 통한 의류 구매를 선호한다고 응답함.  
        - 온라인 의류 구매 중 응답자의 15%가 T-MALL, 11%가 TAOBAO를 선호한다고 응답했음. VIP, 징둥, 아마존은 각각 5%, 4%, 1%를 차지함.

     

    중국인 성인 남녀 선호 의류 구매 경로
      external_image
    주: 18세 이상 5821명, 2017년 2분기 조사

    자료원: Prosper China


      ㅇ 신유통(新零售)의 대두   
        - 2016년 10월 알리바바 창업자 마윈은 처음으로 첨단기술을 활용한 '온라인+오프라인+유통·물류'의 신유통(新零售) 전략을 언급함. 
        - 신유통 전략 주요 키워드는 옴니채널(소비자가 온라인, 오프라인, 모바일 등 다양한 경로를 넘나들며 상품을 검색하고 구매 및 수령 할수 있도록 한 서비스), 체험(IOT, 인공지능, AR·VR 등 기술을 사용하거나 소비자가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체험공간 제공), 빅데이터·무인화·클라우딩컴퓨터 등 기술을 사용한 재고관리·유통 손실 최소화 등이 있음. 
     

      ① 유니클로(优衣库)

        - 유니클로는 중국 최대 전자상거래 플랫폼 중 하나인 T-MALL 입점을 통해 온·오프라인 융합서비스를 시작함. 유니클로 전국 500개가 넘는 매장에서는 T-MALL을 통해 물건을 주문 시 24시간 내에 배송준비를 완료함. 이제 유니클로사는 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제품을 확인하고 온라인으로 구매하거나, 온라인으로 주문하고 오프라인 매장에서 제품을 수령하는 융합형 유통 모델 적용이 가능해짐. 특히 오프라인 매장에서의 물건 수취 서비스는 온라인 판매를 위한 물류 창고 부족 문제 해결책으로도 사용됨. 
        - 2015년 및 2016년 중국 내 신규 오픈한 유니클로 매장 수는 각각 91개 및 85개임. 유니클로는 이미 포화상태인 1선도시 및 연안 도시 외에 2~3선 도시를 타깃으로 해 매장 수를 늘려나가는 전략을 추진 중임. 오프라인 매장을 통해 유니클로 브랜드를 체험하고 홍보하는 효과를 누리는 동시에 2~3선 도시의 온라인 판매 및 빠른 배송을 위한 물류창고 역할도 수행하고 있음.  
        - 2016년 봄, 유니클로는 알리페이와 협업해 AR을 통한 체험 마케팅을 진행함. 유니클로 매장 내 숨겨진 표지판 등을 스캔할 경우 매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홍빠오(红包, 빨간 봉투)를 지급함으로써 고객만족도를 극대화함.

     

    external_image

    자료원: KOTRA 선전 무역관 자체촬영, 新浪科技

     

       ② 迪卡侬(Decathlon) 프랑스 스포츠웨어 
        - 迪卡侬사는 온라인 쇼핑의 무서운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체험' 키워드를 가지고 마케팅 진행
        - 오프라인 매장 방문을 유도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대형 오프라인 매장을 오픈하고 상대적으로 넓은 주차공간을 제공함.
        - 체험을 통한 구매 유도를 위해 오프라인 매장 내 주요 체험장을 설치하고 피트니스 레슨도 진행함. 이에 따라 단순 물건 구매 희망 고객뿐만 아니라 각종 헬스기구, 자전거, 골프 등을 체험하기 위한 고객이 증가해 매출 증대에 긍정적 영향을 끼침.

     

    external_image

    迪卡侬 매장

    external_image

    迪卡侬 매장 내 골프 체험 존 

    external_image

    迪卡侬 매장 내 탁구 체험 존 

    external_image

    迪卡侬 매장 내 트레이닝 레슨 현장 

    자료원: 바이두, KOTRA 선전 무역관 정리


    □ 시사점

     

      ㅇ 여성복 시장, 특히 고급여성복 시장 전망 밝음.

        - 중국 산업정보(中国产业信息)에 따르면 고등교육을 받는 여성인구가 남성을 추월했음. 이에 따라 법률, 의료, 교수 등 다양한 고학력을 요구하는 전문분야에서의 여성 비율이 점차 높아지고 있음. 특히 일선 도시 및 연안도시에서 점차 경제권을 가지는 여성 수가 증가함에 따라 소비권 역시 여성 쪽으로 넘어가고 있음. 해당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77.3%의 기혼여성이 의(衣), 식(食) 및 일상용품 구매 주도권을 가지고 있으며, 22.7%가 주택, 자동차 등 구매에서도 주 결정권을 쥐고 있다고 언급함. 또한 마스터카드사는 중국 미혼 여성 및 아이가 없는 기혼 여성의 구매력은 2005년에의 1800억 달러에서 2015년에 2600억 달러로 증가했으며, 아이가 이미 출가한 가정의 여성 구매력 역시 2005년 1000억 달러에서 2015년에는 1500억 달러로 증가했다고 언급함.

        - 아직까지 중국 여성의류 소비 지출액은 비교적 낮은 편임. 2016년 중국 의류 소비 지출액은 약 96달러로 일본의 38.8%, 미국의 23.76%, 영국의 20.41%임. 장기적으로 봤을 때 중국 경제 성장에 따라 중국 여성복 시장은 3~5배 정도 성장 공간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음.

        - 구매력이 있고 소비력이 강한 1980년대생 이후의 여성이 점차 사회생활을 시작함에 따라 시장에 주력군으로 부상할 예정으로 이들의 고급여성복 구매 비중이 높아질 것으로 예상됨. 이미 제6차 전국인구조사(第六次全国普查数据)에 따르면 고급여성복의 구매는 1960년대생 및 1970년대생이 35.82%를 차지하고 1980년대생이 18.64%를 차지함.

        - 중화전국상업정보(中华全国商业信息)에 따르면 2016년 중국 패션산업 시장별 TOP 10 브랜드의 점유율을 보면 여성복시장의 TOP 10 브랜드 점유율이 스포츠 웨어, 신발류, 남성복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편임. 또한 여성복시장 TOP 10브랜드의 점유율은 일본, 영국, 미국 국가에 비해서도 현저히 낮은 수치임. 이는 몇 개의 브랜드가 독과점하는 시장보다 신규 진입 업체의 진출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고 볼 수 있음.

        - 특히 고급여성복 브랜드의 경우, 패스트 패션에 비해 신상 출시 및 전환율이 상대적으로 낮고 물류 부분에 있어 재고 비축량이 작아 상대적으로 시장 진입이 용이한 것으로 판단됨. 또한 주 구매군으로 성장하는 1980년대생 이후의 여성은 해외 거주경험이 많고 외국 문물을 접할 기회가 많아 외국 브랜드의 대한 선호도가 비교적 높은 편임.


    2016년 패션산업 시장별 TOP 10 브랜드 점유율

    (단위: %)

    external_image

    자료원: 중국 산업정보(中国产业信息)

     

    중국 및 일본, 영국, 미국 여성복시장 TOP 10브랜드 점유율

    (단위: %)

    external_image

    자료원: 중국 산업정보(中国产业信息)


      ㅇ 스포츠웨어 시장 성장세 주목해야 함.

        - 2014년 10월 국무원(国务院)에서 발표한 체육산업발전 및 체육산업소비촉진에 대한의견(关于发展体育产业促进体育消费的若干意见) 에 따르면 정부는 2025년까지 체육산업규모를 5조 위안까지 육성하고 인당 평균 운동 사용 가능 면적을 2㎡, 정기적으로 운동하는 체육인 인구 5억 달성 목표를 세움. 유로모니터에 예측에 따르면 스포츠웨어는 연평균 약 8% 성장률을 지속해 2021년에는 시장규모가 2696억 명으로 증가할 예정임. 
        - 중국 경제성장에 따라 건강에 관심을 갖는 인구 수가 증가하고 있음. 삶의 질을 중시하는 사무직의 경우 주로 스트레스 해소, 체형 유지 등을 위해 정기적으로 운동을 하며 일반 중산층도 등산, Colour Run, 스키 등 다양한 레저활동을 즐김. 러닝은 소모품이 많이 필요하지 않아 진입장벽이 낮고 하루의 성과 등을 쉽게 Wechat 등을 통해 공유가 가능해 다수가 선호함. 중국 국가체육총국(国际体育总局)에 따르면 마라톤 개최 수는 2011년 22번에서 2015년 123번으로 증가함. 또한 IBISWORLD에 따르면 중국 헬스장 연매출액은 2011년에서 2016년까지 평균 11.8% 성장했으며 2016년 연매출액은 58억1000만 달러를 기록함.  

     

    스포츠웨어 시장규모 전망치
        (단위: 십억 위안)

    구분

    2018

    2019

    2020

    2021

     Sports Apparel

    106.2

    113.1

    120.5

    128.6

        - performance apparel

    34.7

    37.4

    40.5

    44

        - outdoor apparel

    17.8

    19.3

    21.1

    23.3

        - sports-inspired apparel

    53.7

    56.4

    58.9

    61.3

     Sports Footwear

    112.3

    122.1

    131.8

    141

        - performance footwear

    38.3

    42.2

    46

    49.6

        - outdoor footwear

    7.6

    8.2

    9.1

    10.1

        - sports-inspired footwear

    66.4

    71.7

    76.7

    81.3

     총계

    218.5

    235.2

    252.3

    269.6

    자료원: 유로모니터, KOTRA 선전 무역관 정리

     

        - 한국 기업 코오롱 스포츠 역시 중국 시장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중국 스포츠웨어 브랜드 ANTA사와 합작법인을 설립함. 코오롱스포츠는 상품 기획, 제조, 마케팅 등을 맡고 ANTA 측은 유통, 영업을 총괄할 예정으로 중국 국민의 늘어나는 스포츠웨어시장을 공략할 예정임.

     

    코오롱 스포츠 차이나 손병옥 부사장 인터뷰   

     

    Q. 코오롱 그룹 중국시장 진출 동기 및 진출 후 성과는? 

    A. 코오롱스포츠는 2006년 ① 코오롱 스포츠의 글로벌화,  중국 내 산업 구조 변화 대응을 위한 3차산업즉 리테일 산업 위주로의 개편을 예상해 리테일 비즈니스에 역점,  스포츠 레저인구의 증가에 따른 아웃도어시장의 급성장 예상에 따라 중국 시장에 진출하게 됐습니다진출 6년 만인 2011년에 이미 BEP 달성이라는 1단계 목표를 완성했으며, 2단계 목표인 경쟁력 강화를 통한 이익 확대를 위해 2012년부터 유통시장을 점검하고 업무 효율성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Q. 코오롱 스포츠 안타사와 합작 이유 및 기대성과는?

    A. 중국은 현재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 스포츠 레저 인구의 급팽창에 따라 아웃도어 시장이 고성장을 이루고 있는 추세입니다.이에 따라 상품력과 디자인에 강점을 두고 있는 코오롱 스포츠와 중국 내 최고 인지도 및 영업력을 가지고 있는 안타(ANTA)사와의 협력을 고려하게 됐으며사업 다각화를 추진하는 안타사의 비즈니스 전략이 잘 맞아 협력을 진행하게 됐습니다.  

    신규 설립 합작법인은 코오롱스포츠가 속해있는 코오롱인더스트리코오롱안타, 3개사의 합의하에 전개되며(지분율 코오롱 그룹 50%, 안타 50%) 중국대만홍콩마카오 등 본격적인 중화권 사업을 진행할 예정입니다신규 합작법인 설립을 통해 중국 본토에서의 볼륨확장으로 중화권 내 브랜드 위상을 높이고 넘버원 아웃도어 브랜드를 목표로 삼고 있습니다.

     

    베이징 대형 쇼핑몰 'INDIGO'에 입점한 KOLON SPORT 

    external_image

    자료원: KOLON SPORT  

     

    Q. 안타사와 합작 후 성과는?

    A. 안타와의 합작 후 2017년 사상최대의 매출 및 이익을 보였으며 특히 11월에는 단위 월 최대매출을 달성했습니다코오롱스포츠의 최대강점인 높은 품질력을 바탕으로 한 다운자켓은 현재 중국내 다운시장의 리더쉽을 보이며 시장선도를 이끌고 있습니다.

     

    Q. 중국 시장진출 시 유의사항은?

    A. 중국 내 비즈니스 패러다임이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습니다중국 내 기업조차 변화하지 않으면 빠르게 도태되고 있습니다하물며 우리 중소중견대기업은 변화에 대응 또는 적절한 전략으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지에 대한 많은 고민이 필요한 시기입니다상품·디자인만 좋으면 어느정도 코리아 프리미엄이 통하던 시대는 이미 자나갔고 중국 내에서의 경쟁력 확보는 곧 글로벌 경쟁력 확보라는 사고의 전환이 필요합니다유니클로 야나이 회장이 이야기한 'Think global, act local'이라는 문구가 중국 진출을 희망하는 기업에 가장 적합한 문구가 아닐까 싶습니다

    자료원: KOTRA 선전 무역관 자체 진행


      ㅇ 신유통(新零售) 고려한 비즈니스 모델 착안해야 함.
        - 적합한 유통 구조 선택은 외국 진출 기업 성공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함. 최근 의류 매출량이 높은 브랜드 대부분은 오프라인+온라인 유통 모델을 모두 보유해 옴니채널을 구현시킨 경우가 다수임. 최근 소비자들은 편의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짙어, 각 유통채널의 특성을 결합해 어떤 채널에서든 같은 매장을 이용하는 것처럼 느끼게 하는 것이 중요함.

        - 체험 자체가 브랜드의 이미지 및 상품이 될 수 있어, 고객에게 가치 있는 체험을 선사하는 것이 중요함. 경제학자 Pine과 Gilmore는 고객들은 체험을 제공하는 상품에 더 많은 돈을 지불하고, 기업들은 다양한 체험 연출을 통해 자기 상품을 다른 상품들과 차별화 할 수 있다고 말함. 또한 개인의 참여형태와 환경정도에 따라 오락적 체험요소, 교육적 체험요소, 미적체험요소, 일탈적 체험요소로 구분함. 다양한 체험 요소를 각 기업 특성에 맞춰 제공하는 것도 효과적인 마케팅 방법 중 하나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