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진출 정보

    중국 유아동복 시장동향

    - 2017년 중국 유아동복 시장규모 전년대비 14.3% 증가한 1796억 위안 - 
    - 유아동복시장 최근 5년간 매출액 기준 연평균 성장률 11.1% - 
    - 뚜렷한 선두기업 없고 신규 브랜드 거부감 낮아 진출 용이 -

     

     

     

    □ 시장규모 및 동향 

     

      ㅇ 중국 유아동복 시장규모 
        - Euromonitor에 따르면 2017년 중국 유아동복 판매량은 전년대비 11.2% 증가한 30억5750만 벌을 기록함. 2012~2017년 판매량 연평균 성장률은 8.5%로, 최근 들어 판매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음. 
        - 영·유아복(0-3세) 판매량 성장률이 남·여아복(3+)을 소폭 상회함. 

     

    중국 유아동복시장 판매동향
    (단위: 백만 벌)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영유아복(0~3세)

    411.8 453 502.9 573.5 661.4 753.5

    아동복(남아)

    833.8 875.4 913.1 963.9 1,037.3 1,146.4

    아동복(여아)

    789.7 849 907.5 968 1,048.5 1,157.6

    유아동복(합계)

    2,035.3 2,177.4 2,323.5 2,505.5 2,747.3 3,057.5

     

    external_image

     자료원: Euromonitor, KOTRA 선전 무역관 정리

     

        - 2017년 중국 유아동복시장 매출액은 전년대비 14.3% 증가한 1796억 위안을 기록함. 최근 5년간 매출액 연평균 성장률은 11.1%을 상회하는 수치로, 최근 들어 더욱 중국 유아동복시장이 호황을 누리고 있는 것으로 판단됨.


    중국 유아동복시장 매출동향
    (단위: 십억 위안)   

    구분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영유아복(0~3세)

    16.6 18.8 21.4 25 29.6 34.7

    아동복(남아)

    44.8 48.3 51.7 56 61.9 70.1

    아동복(여아)

    44.6 49.3 54 59 65.6 74.8

    유아동복(합계) 

    105.9 116.4 127.1 140 157.1 179.6

     

    external_image

    자료원: Euromonitor, KOTRA 선전 무역관 정리


    □ 시장 전망

     

      ㅇ 2016년 '두 자녀' 정책 시행, 2018년 '산아제한' 정책 완전 폐지  예정  
        - 중국은 1978년부터 대도시를 시작으로 한 가구에 한 명의 자녀만 허용하는 '계획 생육(计划生育)' 산아 제한 정책을 시행함. 다만 급속한 고령화에 따라 2016년 '한 가구 한 자녀' 정책을 폐지하고 '두 자녀'를 허용하는 '1가구 2자녀 정책'을 시행함. 
        - 실제로 전면적 두 자녀 정책을 시행한 2016년 중국 신생아 수는 전년대비 약 8% 증가해 1786만 명을 기록함. 다만 2017년의 출생인구의 경우 전년대비 63만 명이 줄어 1723만 명을 기록, 다시 하락세로 돌아섬. 지난해 신생아 1723만 명 중 둘째는 878만 명으로 51%를 차지했으나(2016년 대비 10%p 증가) 첫 번째 자녀 출산율이 낮아 전체적으로 소폭 하락세를 기록함.   
        -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중국 국무원이 산아제한 폐지 정책에 대한 타당성 조사를 마쳤으며, 올 연말 40여년 만에 산아제한을 폐지할 전망이라고 보도함. 중국 관영매체에서도 산아제한 정책 완전폐지를 지지하는 입장을 표명함으로 폐지 정책이 더욱 탄력을 받을 예정이며 빠르면 2018년 4분기부터 조치가 시행될 것으로 전망됨. 

     

      ㅇ 낮은 시장 집중도 
        - 중국 유아동복시장은 아직 성장단계임.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Euromonitor에 따르면 2017년 매출액 기준 중국 유아동복 시장 Top 5 브랜드 시장점유율은 8.5%이며 TOP 10 브랜드 시장점유율은 11.3%임. 
        - 시장점유율 1위 브랜드인 바라바라(Balabala)의 경우 매출액 기준 2017년 유아동복시장 점유율 5%를 차지한 반면, 타 브랜드 제품은 모두 시장 점유율 1% 이하임 
        - 중국 민간컨설팅 회사인 지연컨설팅에 따르면 2016년 일본 TOP5 브랜드 유아동복시장 점유율은 23.5%, 미국 27.1%, 영국 18.8%임. 중국 유아동복시장 시장집중도는 타지역에 비해 비교적 낮은 편으로 소수 브랜드가 독과점하는 시장보다 신규 진입 업체 진출이 상대적으로 용이하다고 볼 수 있음.

     

    중국 유아동복 시장점유율(매출액 기준)
    (단위: %)

    브랜드 2014 2015 2016 2017
    Balabala 3.6 4.1 4.6 5
    adidas Kids(adidasGroup) 0.7 0.8 0.9 1.1

    Pepco(Pepkor Holdings Ltd)

    0.9 0.9 0.9 0.8
    Annil 0.9 0.9 0.8 0.8

    Dadida(Fujian Green Group)

    0.9 0.9 0.8 0.8

    Disney(Walt Disney Co, The)

    0.6 0.6 0.6 0.6
    ABC 0.6 0.6 0.6 0.6
    Mini Peace 0.2 0.3 0.5 0.6
    Pencil Club 0.5 0.5 0.5 0.5
    Anta Kids 0.5 0.5 0.5 0.5

    자료원: Euromonitor, KOTRA 선전 무역관 정리

     

      ㅇ 1인당 유아동복 소비액 비교적 낮아 
        - 지연컨설팅(智研咨询) 자료에 따르면 2016년 중국 평균 유아동복 소비액은 16달러로 일본(60.9 달러), 미국(97.4)달러, 영국(124달러)보다 비교적 낮음. 지속적인 중국 경제성장 및 가처분소득 증가에 따라 유아동복 구매 역시 늘어날 것으로 전망됨


    2016년 중국·일본·미국·영국 1인당 유아동복 소비액
    (단위: 달러)

    external_image

    자료원: 지연컨설팅, KOTRA 선전 무역관 정리
      

    도시 및 농촌주민 가처분소득
    (단위: 위안)

    external_image
    자료원: 중국 산업정보망, KOTRA 선전 무역관 정리

     

      ㅇ 신규 브랜드에 대한 거부감 낮아
        - 홍콩 무역발전국(HKTDC)에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신규 브랜드 유아동복 구입의향' 질문에 전체 응답자 중 89%가 구매를 고려하겠다고 응답함. 응답자 중 상하이 지역 거주자의 94%가 신규 브랜드 구입의향이 있다고 응답한 반면, 칭다오는 83%응답자만 구입의향이 있다고 응답함.
        · 2017년 3월, 베이징, 상하이 등 10개 도시에서 각 300명씩 응답(총 응답자 수 3000명)
        - '2015 신랑 영유아 소비백서(2015年新浪母婴消费白皮书)'에 따르면, 1가정 1자녀 정책 세대인 80허우(后)와 90허우(后)가 전체 육아의 85.9%를 차지함. 대부분 외동으로 태어나 부모와 조부모들의 극진한 보호와 관심을 받으면 자라 생활의 질을 중시하는 성향이 짙은 편임. 또한 해외 거주경험도 많고 외국 문물을 접할 기회가 많은 소비층으로 외국 브랜드에 대한 거부감이 낮고 선호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판단됨. 

     

    □ 경쟁동향


      ㅇ 중국 유아동복시장 분류 
        - 유아동복은 가격대별로 명품 브랜드(1000위안 이상), 프리미엄 브랜드(300위안 이상), 중고가 브랜드(100위안 이상), 저가브랜드(100위안 이하)로 구분할 수 있음. 

     

    구분

    유형

    브랜드 티셔츠 1장 가격
    명품

    명품의류 브랜드 아동복 라인

    Young versace, ArmaniJuniors 등 1000위안 이상
    프리미엄

    프리미엄 아동복 전문 브랜드

    Paw in Paw, Kingkow 등  300위안 이상
    중가

    성인 의류 브랜드 아동복 브랜드

    Adidas Kids, Nike kids, jnbybyJNBY 등 100위안 이상

    아동복 전문브랜드

    Balabala, Annil, Pepco 등
    저가

    성인의류 브랜드 아동복 라인

    H&M kids, Gap kids, Zarakids 등 100위안 이하


      ㅇ 중국 유아동복시장 주요 브랜드별 판매 현황 
        - 스포츠웨어에서 아웃도어·SPA(제조·유통일괄) 브랜드까지 유아동복 시장 진출에 박차를 가하고 있음. 리닝(Lining), 안타(Anta), 361도(361 degrees) 등 유명 스포츠 브랜드를 포함해 SPA 브랜드인 ZARA, GAP, H&M 역시 아동복 판매 구역을 확대 중이며 명품 브랜드인 Armani, Burberry, Gucci 등 브랜드 역시 단독 아동복 판매 공간을 마련했을 정도로 아동복 시장에 관심이 높음.
        - 2017년 매출액 기준, 중국 유아동복 시장 점유율 1위 브랜드는 중국브랜드 Balabala임. 2014년 매출액 기준 시장 점유율 3.6%에서 지속적으로 성장해 2017년에 5%를 기록함. 2% 시장 점유율 넘는 유일한 브랜드로, 아동복 시장에서 브랜드 이미지가 양호함. 
        - 시장점유율 2위는 아디다스 키즈가 차지함. 2014년 기타 브랜드보다 낮은 점유율(0.7%)을 기록했지만 꾸준히 성장해 2017년도에는 1.1%를 기록함.

     

    중국 유아동복 브랜드별 시장점유율(매출액 기준)
    (단위: %)

    브랜드명 회사명(0NBO) 2014 2015 2016 2017
    Balabala Semir Group Co Ltd 3.6 4.1 4.6 5
    adidas Kids  adidas Sports (China) Ltd 0.7 0.8 0.9 1.1
    Pepco  Dongguan Pepco Clothes  0.9 0.9 0.9 0.8
    Annil Annil Co Ltd 0.9 0.9 0.8 0.8
    Dadida  Quanzhou Green Garments Co Ltd 0.9 0.9 0.8 0.8
    Disney  Roly China Group Co Ltd 0.6 0.6 0.6 0.6
    ABC Qibu Co Ltd 0.6 0.6 0.6 0.6
    Mini Peace Ningbo Peacebird Group 0.2 0.3 0.5 0.6
    Pencil Club Dongguan Tianxiang Clothing  0.5 0.5 0.5 0.5
    Anta Kids Anta (China) Co Ltd 0.5 0.5 0.5 0.5
    Nike Kids  Nike (China) Inc 0.4 0.5 0.5 0.5
    H&M H&M Hennes & Mauritz AB 0.5 0.4 0.4 0.4

    자료원: Euromonitor, KOTRA 선전 무역관 정리


    □ 수입현황

     

      ㅇ 상품명 
        - 유아용 의류와 그 부속품(HS Code 6209)
        - 유아용 의류와 그 부속품(메리야스 편물이나 뜨개질 편물로 한정한다)(HS Code 6111)

     

    중국 아동복 수입동향(HS Code 6209 기준)
    (단위: 천 달러, %)

    순위  

    2015년

     

     

    2016년

     

     

    2017년

     

    국명 수입액 증감률 국명 수입액 증감률 국명 수입액 증감률
    - 총계 33,321 -9.4 총계 36,277 8.9 총계  33,048 -8.9
    1 방글라데시 8,281 -8.2 방글라데시 9,228 11.4 베트남 6,568 16
    2 베트남 4,888 -33.9 베트남 5,660 15.8 인도네시아 5,470 5.8
    3 인도네시아 4,844 44.3 인도네시아 5,172 6.8 방글라데시 5,368 -41.8
    4 인도 2,432 22.1 인도  2,772 14 캄보디아 2,680 65.4
    5 태국 2,396 50 태국 1,830 -23.6 인도 2,663 -3.9
    6 캄보디아 1,517 525.7 캄보디아 1,620 6.8 태국 1,275 -30.3
    7 스리랑카 825 -28.9 스리랑카  1,099 33.2 북한 1,114 149.4
    8 이탈리아 511 14.5 한국 737 527.3 스리랑카  805 -26.8
    9 스페인 481 -41.6 이탈리아  574 12.4 포르투갈 629 30
    10 북한 447 111.7 스페인 492 2.2 스페인 518 5.4

    자료원: 한국무역협회

     

    중국 아동복 수입동향(HS Code 6111 기준)
    (단위: 천 달러, %)

    순위  

    2015년

     

     

    2016년

     

     

    2017년

     

    국명 수입액 증감률 국명 수입액 증감률 국명 수입액 증감률
      총계 101,880 15.9 총계 107,292 5.3 총계 109,259 1.8
    1 캄보디아 28,880 27.8 캄보디아 24,251 -16 캄보디아 28,033 15.6
    2 베트남 16,618 22.6 베트남 18,348 10.4 베트남 21,403 16.7
    3 인도 10,533 6 인도 14,273 35.5 인도 12,439 -12.9
    4 방글라데시 8,146 11.1 방글라데시 8,807 8.1 방글라데시 7,872 -10.6
    5 태국 6,771 -11.2 인도네시아 8,156 26.2 인도네시아 6,685 -18
    6 인도네시아 6,460 26.3 태국 6,652 -1.8 태국 5,342 -19.7
    7 말레이시아 2,875 -13 스리랑카 3,390 39.2 스리랑카 4,033 19
    8 스리랑카 2,435 36.2 말레이시아 1,526 -46.9 일본 1,665 46.6
    9 한국 2,282 223.2 포르투갈 1,371 8.8 포르투갈  1,605 17.1
    10 터키 1,388 14 한국 1,349 -40.9 모로코 1,301 78.7

    자료원: 무역협회

     

    주요 아동복 HS Code별 수입 관세율 

    HS Code

    품목명

    기본세율

    MFN 

    한-중 FTA 

    6209 20 00 

    면으로 만든 것

    90%

    14%

    9.80%

    6209 30 00

    합성섬유로 만든 것

    130%

    16%

    9.80%

    6209 90 10

    양모 또는 모피로 만든 것

    130%

    14%

    9.80%

    6209 90 90

    기타 방직용 섬유제

    100%

    14%

    9.80%

    6111 20 00

    면으로 만든 것

    90%

    14%

    9.80%

    6111 30 00

    합성섬유로 만든 것

    130%

    16%

    11.20%

    6111 90 10

    양모 또는 모피로 만든 것

    130%

    14%

    9.80%

    6111 90 90

    기타

    130%

    14%

    9.80%

    자료원: 관세법령정보포털, 海关百搜


    □ 유통구조

     

      ㅇ 구매는 오프라인, 정보 공유는 온라인 
        - 중국 유아동복시장은 유통채널은 크게 백화점, 대형마트, 전문매장, 온라인 구매로 나눌 수 있음. 
        - 홍콩 무역발전국(HKTDC)에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설문 조사에 응답한 3000명 중 약 51% 응답자가 백화점을 가장 선호하는 구매 채널로 선정했으며 다음으로는 대형슈퍼마켓(47%), 체인점 아동복 전문매장(45%), 일반 아동복 전문매장**(37%), 중국 온라인플랫폼을 통한 구매(23%) 등이 있음.     
        * 2017년 3월, 베이징, 상하이 등 10개 도시에서 각 300명씩 응답(총 응답자 수 3000명)
        ** 체인점이 아닌 아동복 전문매장(일반적으로 비메이커) 
        - 유아동복 관련 정보 입수 주요 경로는 오프라인 매장(62%), SNS 동호회, 블로그(46%), 위챗 공식계정(41%) 순임.  
        - 온라인을 통한 구매는 3~4선 도시가 1~2선 도시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2자녀를 둔 가정의 온라인 구매비율이 1자녀를 둔 가정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남.

     

      ㅇ 온라인 채널 성장 가능성 높아
        - 온라인을 통한 아동복 구매는 아직까지 성장단계에 있다고 볼 수 있음. 유아동복의 경우 직접적으로 피부에 닿는 비교적 민감한 제품으로 품질이 중시되기 때문에 온라인 채널보다는 오프라인 채널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보임. 이에 따라 온라인 유아동복 구매는 주로 인지도가 높은 브랜드나 외국 브랜드가 주로 유통됨.
        - 다만 일반 성인용 의류 및 신발류의 유통 구조별 점유율을 보면 온라인 채널의 약진이 두드러짐. 판매량 기준 2011년 오프라인 매장 점유율은 96.5%를 기록했지만, 2016년에는 74%로 감소함. 이에 비해 온라인 채널을 통한 일반 성인 의류 및 신발류 구매는 2011년 3.5%에서 2016년 26%로 성장함. 유아동복 역시 점차 성숙기에 들어서면서 인지도가 높은 브랜드들이 생겨나기 시작함. 이에 따라 유아동복 역시 온라인을 통한 판매가 점차 늘어날 것으로 전망됨

     

    중국 의류 및 신발류(일반) 유통구조별 점유율(판매량 기준)

    (단위: %)

    구 분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오프라인 

    96.5

    92.4

    89

    84.3

    79

    74

      - 대형슈퍼마켓

    6.1

    6

    5.6

    5.2

    4.8

    4.4

      - 의류 및 신발 판매 전문매장

    22

    23.4

    24.4

    24.2

    24.1

    23.9

      - 레저 및 개인용품 판매 전문매장

    18.1

    17.5

    17.4

    17.4

    17.8

    18.4

      - 백화점

    37.5

    36.8

    36.3

    33.5

    29.5

    25.7

    온라인 

    3.5

    7.6

    11

    15.7

    21

    26

      - 온라인 쇼핑

    3.4

    7.5

    10.9

    15.6

    20.9

    25.9

      - 홈쇼핑

    0.1

    0.1

    0.1

    0.1

    0.1

    0.1

    총 합

    100

    100

    100

    100

    100

    100

    자료원: Euromonitor, KOTRA 선전 무역관 정리

     

    중국 의류(일반) 유통구조별 시장점유율(2016년 판매량 기준)

    구분

    시장점유율(%)

    오프라인 

    73.6

      - 대형슈퍼마켓(hyper market)

    4

      - 의류 및 신발 판매 전문매장

    24.7

      - 레저 및 개인용품 판매 전문매장

    11.5

      - 스포츠 용품 판매 전문매장

    6.5

      - 백화점

    24.9

      - 기타

    2

    온라인 

    26.4

      - 온라인 쇼핑

    26.3

      - 홈쇼핑

    0.1

    총 합

    100

    자료원: Euromonitor, KOTRA 선전 무역관 정리


    □ 통관 필요 서류


      ㅇ 아동복의 경우 통관시 인증은 불요하나 입국화물통관단(入境货物通关单) 신청필요
        - 필요서류는 계약서, 인보이스, 선하증권, 패킹리스트, 중문텍등기서(中文吊牌备案书), 검사검역보고서 등 서류가 필요함.
        - 검사검역은 국가표준: GB31701-2015 “영유아 및 아동용방직품 안전기술 규범(婴幼儿及儿童纺织产品安全技术规范)을 기준으로 하며 성인용 의류보다는 엄격한 편임. 특히 최근 들어 유아용품에 대한 검증이 강화되고 철저한 사전준비가 필요함.

     

    □ 시사점

     

      ㅇ 홍콩무역발전국 설문조사*를 통해 알아보는 중국 유아동복시장 이모저모 
        - 설문조사에 따르면, 유아동복 구입 결정 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응답자의 47%가 선택한 부드러운 원단·소재임. 다음으로 중요한 요소는 피부에 자극을 주는 원단인지 여부(45%), 브랜드 이미지임(25%). 내구성이라고 답한 응답자는 8%에 그쳤으며 7%응답자만이 가격이 가장 중요한 요소라고 응답함. 
        - 티셔츠 한 장 지불용의 평균가격은 179위안임. 또한 수입이 높은 가정일수록 지불용의 금액이 높아짐. 월 평균 수입이 3만 위안 이상 응답자의 경우 199위안을 지불할 용의가 있다고 응답한 반면, 1만5000위안 이하 응답자의 경우 평균 160위안이라고 응답함.  
        · 2017년 3월, 베이징, 상하이 등 10개 도시에서 각 300명씩 응답(총 응답자 수 3000명)

     

      ㅇ 중가, 트렌디한 디자인 제품 선호 
        - 매출액 기준 중국 유아동복 브랜드별 시장점유율 상위권 브랜드는 Balabala를 포함해 대부분 중저가·중고가 브랜드가 대부분임. 중국 경제성장에 따른 소비수준 향상속도가 빠르긴 하나 아동복 시장 특성상 고가의 제품 구매는 아직까지 보편화되지 않음. 특히 영·유아 제품의 경우 단기간만 사용 가능한 제품으로 너무 고가보다는 품질이 우수하고 가격이 합리적이며 디자인이 우수한 제품이 수요가 높은 것으로 보임.

     

      ㅇ 적합한 유통채널 선정 필요 
        - 최근 트렌드에 맞는 신유통(新零售)을 고려한 비즈니스 모델 착안이 필요함. 오프라인 구매가 선호되는 유아동복시장 특성과 향후 온라인 유통 성장세를 고려해 오프라인+온라인 융합형 옴니채널 구현이 중요함. 매출액 점유율 1위 기업인 Semir 그룹(balabala) 역시 옴니 채널을 구현해 브랜드 인지도를 높인 것이 유효함. 최근 소비자들은 편의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짙어, 각 유통 채널의 특성을 결합해 어떤 채널에서든 같은 매장을 이용하는 것처럼 느끼게 하는 것이 중요함.
        - 중국 브랜드 및 유통업체와 협업도 고려해 볼 수 있음. 금년도 1월 이랜드는 중국 알리바바 티몰과 전략적 제휴협약을 체결함. 이를 통해 이랜드는 기 중국 진출 아동복 브랜드뿐만 아니라 중국에 진출하지 않은 아동복 브랜드 및 국내 콘텐츠를 티몰 글로벌 역직구 플랫폼을 통해 중국 시장에 진출할 예정임. 또한 LF 프리미엄 아동복 '헤지스 키즈' 역시 현지 아동복 업체 '지아만'과 라이선스 계약함. 지아만은 주로 'ArmaniJuniors' 같은 유명 수입 아동복을 라이선스 방식으로 판매하는 업체로 중국 전역에 다수 매장을 운영하고 있음.

     

     

    자료원: Euromonitor, 지연컨설팅, 한국무역협회, 관세법령정보포털, 海关百搜, 중국 산업정보망, KOTRA 선전 무역관 자체자료 종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