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업계 동향: 양적 축소 속 질적 성장
- 2024년 100대 슈퍼마켓의 총매출은 9,000억 위안(+0.3%)으로 소폭 증가했으나, 총 매장 수는 2.52만 개(-9.8%)로 감소함
- 상위 10개 기업의 매출 비중은 전체의 66.6%로 확대되어, 대기업 중심의 시장 집중화가 심화됨
□ 순위 변동: 월마트 1위, 허마 3위 신규 진입
- 월마트(沃尔玛)는 매출 1,588억 위안(+19.6%)으로 4년 연속 1위를 차지함
- 알리바바 산하의 허마(盒马)는 750억 위안의 매출로 처음 3위권에 진입, 매장 수를 420개까지 확대함
- 전통 강자였던 융후이슈퍼(永辉超市)는 매출과 매장 수가 동시에 감소, 구조조정 진행 중
□ 업태 전환: 회원제·할인점 부상, 전통 마트는 생존 모색
- 샘스클럽, 코스트코 등 회원제 매장은 유료 회원과 매장 수를 모두 늘리며 성장을 주도함
- 핫 맥스(Hotmaxx) 등 할인점은 '저가+정선된 상품(SKU)*' 전략으로 중소도시 시장을 공략 중
- 전통 대형마트들은 '슈퍼+외식' 결합, 즉시 배송 등 신사업 모델을 시도하며 활로를 모색 중
□ 업계 전반에서 '띠아오가이(调改)*'로 불리는 매장 리모델링을 통해 수익성 제고를 모색하고 있음
- 리모델링을 시도한 기업의 약 75%가 실질적인 매출 증가 성과를 거둔 것으로 나타남
* 띠아오가이(调改, 리모델링): '조정하고 뜯어고친다'는 의미로, 상품 구성, 서비스, 매장 환경 등을 전면적으로 개선하는 작업을 뜻하는 중국 유통업계 용어
** SKU(Stock Keeping Unit): 재고관리단위. 개별 상품을 구별하는 최소 단위를 의미하며, SKU 축소는 상품 가짓수를 줄여 관리 효율을 높이는 전략임
출처: 텅쉰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