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요
- 전시 안내
개최기간 2026.03(일정미정) 개최국가 중국 개최장소 Shanghai New International Expo Center , SNIEC (상하이 신국제엑스포센터) 개최규모 90000sqm(㎡) 산업분야 전기전자&반도체 전시품목 반도체 제조용 장비와 소재 및 부품
- 주최자
주최기관 SEMI China 담당자 전화 0212345467 팩스 이메일 hzhao@semi.org 홈페이지 www.semiconchina.org
- 비고
- ★ 본 전시회는 주최측의 사정에 따라 개최일자 또는 개최 여부가 변동될 수 있으므로 전시회 참가 및 참관 전 반드시 주최자 또는 전시장으로 사전문의 바랍니다.
ㅇ 전시회 참가성과 정보 추후 업데이트 예정 (조건부 승인)
ㅇ 전시회 개최일정은 아직 사이트에 미등록 상태이고 담당자와 확인 후 업데이트 예정
년도 | 참가국수 | 참가업체수(전체) | 참가업체수(외국) |
---|---|---|---|
2025 | 40 | 2200 | 492 |
2024 | 0 | 0 | 0 |
2023 | 25 | 1100 | 0 |
년도 | 참가객수(단위:백명) |
---|---|
2025 | 2998.96 |
2024 | 0.0 |
2023 | 921.6 |
참관기
- 2024 중국 상하이 반도체 전시회 썸네일 이미지2024 중국 상하이 반도체 전시회
전시회명 한글 2024 중국 상하이 반도체 전시회 영문 Semicon China 2024 개최기간 2024.3.20(수) ∼ 3.22(금) (3일간) 홈페이지 www.semiconchina.org 개최연혁 1988년 최초개최 개최규모 90,000㎡ 참가업체수 약 1,100개 기업 참관객수 114,670명, 해외 참관자 5,607명 전시분야 반도체 제조용 장비, 소재 및 부품 등 전시회 로고 ○ 전시회의 개요 - 2024 중국 상하이 반도체 전시회는 2024년 3월 20일(수)부터 3월 22일(금)까지 상하이 푸둥 신국제 전람중심에서 개최되었으며, 전시회면적은 90,000㎡이었음. 한국, 미국, 독일, 싱가포르 등 20여개 국가에서 약 1,100개 기업이 참가한 가운데 전시회를 방문한 참관객은 114,670명으로 집계 되었음. ○ 전시회의 특징 - 중국은 전 세계 가장 큰 반도체 시장으로 전체 글로벌 반도체 수요의 49%를 차지하고 있음. Semicon China는 중국에서 개최하는 최대 규모의 반도체 전시회로, 중국의 반도체 장비․재료 기업이 대거 참가함. - 이번 전시회에는 1,100개 기업이 참가하여, 반도체 IC 제조, 패키징 및 테스트, 장비 및 재료 등 반도체 분야의 최신 기술과 제품이 전시됨. - 또한 AI, 차량용 반도체, 첨단 패키징, 탄소중립 등 주요인사 100여명을 초대해 반도체 미래 발전에 대한 포럼이 개최되었음. ○ 전시장 평면도 ○ 한국기업관 - 이번 한국관에는 반도체 장비(전공정 패턴 결함 검사 장비, 후공정 장비) 및 부품(파이프 절단기, 밸브, 압력계 등)기업이 참가하였으며, 참가기업 9개사는 바이어들과 107건의 상담을 진행하면서 3,756만 달러 규모의 수출 계약 논의를 하였음. - 단체로 구성된 한국기업관 외에도 한국 주요 반도체 기업인 세메스, 원익IPS, PSK, 동진쎄미켐 등 총 33개 사가 개별 참가했으며 많은 바이어들로부터 합작 의향을 타진 받는 등 큰 주목을 받았음. - 국가관으로는 한국관, 싱가포르관이 참여하였고, IC Manufacturing, Compound Semiconductor(화합물 반도체) 등 5개 테마관으로 구성됨. ○ 한국관 현장 한국관 전경 한국관 전경 현장 상담 현장 상담 ○ 향후 전시회 (발전) 전망 - 세계반도체시장통계기구(WSTS)에 따르면, 2024년 글로벌 반도체 시장 규모는 2023년 대비 12.1% 증가한 5,883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 되며, 특히 메모리 반도체 시장은 45% 증가한 1,298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 - ‘산업의 쌀’이라고 불릴 정도로 중요하면서도 민감한 품목인 반도체 관련 전시회에 대해 개최 전부터 기업들과 언론들에서 많은 관심을 보임. 실제 전시회 기간 동안 전시장은 인산인해를 이루었으며, 한국관에 참가한 9개 기업뿐만 아니라 많은 참관객들이 차년도 한국관 참가 문의를 하였으며, 이에 내년 세미콘에서는 한국관을 확장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가 될 것임.
- 2021 중국 상하이 반도체 전시회 [Semicon China 2021] 썸네일 이미지2021 중국 상하이 반도체 전시회 [Semicon China 2021]
전시회명 한글 2021 중국 상하이 반도체 전시회 영문 2021 Semicon China 개최기간 2021. 3.17(수) ∼ 3.19 (금) (3일간) 홈페이지 www.semiconchina.org 개최연혁 1988년 최초개최 개최규모 84,500㎡ , 3개국 참가업체수 1071개사 참관객수 92,154명 전시분야 반도체 제조용 장비, 소재 및 부품 등 한국관 참가현황 54sqm , 3개사, 1개 행정부스 전시회 로고 ○ 전시회의 개요 - 2021 중국 상하이 반도체 전시회는 2021년 3월 17일(수)부터 3월 19일 (금)까지 상하이 푸둥 신국제 전람중심에서 개최되었고, 이번 전시회의 행사면적은 84,500㎡이고, 참가국가는 한국. 대만. 독일 국가외에도 개별업체들이 참가하여 분야별로 제품을 선보임. ○ 전시회의 특징 - 跨界全球·心芯相聯이라는 중문버전의 테마 역시 전 세계와 업계를 넘나들며 마음과 기술을 서로 연결시킨다는 뜻으로 역시 기술 개방, 국제 협력강화를 강조 함. - 금년 전시회는 Connect·Collaborate·Innovate이라는 슬로건을 내세움이는 중국의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산업이 괄목할만한 발전과 성장을 이루어왔으며 외 부 시장경쟁의 심화 속에서 더 나아가 외부의 선진기술을 포용하고 산업을 개방하며 국제 기술협력을 강화함으로써 자국 산업의 국제화, 전문화를 이루고자 하 는 주제의식을 담고 있음. - SEMI 365일 온라인전시관(www.semipv.com) : 3일간의 오프라인 전시부스 운영 이후 지속적으로 바이어에게 노출, 비즈니스 기회를 창출할 수 있는 365일 상시운영 온라인 전시관 프로그램 제공. 실제 전시회장의 실경과 동일하게 구현하여 그림, 동영상, VR 컨텐츠 등을 활용해 현장감을 높혔으며 온라인 미팅 기능 을 제공하여 실시간 상담 이 가능함 ○ 한국관 주요품목 소개 및 동향. 바이어 반응 - 한국관은 ㈜넥센서. 디씨에스이엔지(주). 솔리드(주) 등 3개 업체가 참가하였고 대표제품은 간섭계, 자유곡면측정모듈, 두께센서모듈, 파이프 커팅 및 베벨 링, 칠러등 전시품을 전시하여 중국 바이어들의 관심을 보였음.
○ 향후 전시회 (발전) 전망 - 중국반도체시장에 성장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중국내 경쟁업체도 함꼐 증가하고 있음. 반도제 제품에 가격경쟁 또한 치열한 상황이므로 경쟁력 유지를 위해 서는 신제품 개발 및 원가절감 노력이 필요함. 참가기업들은 중국 내 대리상, 브랜드 진출등 다양한 유통채널 진출 확대를 위해서 중국바이어 들에 관심을 끌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 - 중국 시장은 반도체 분야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국가중 하나임. 이러한 중국에 반도체 분야에 꾸준한 성장은 많은 해외기업 및 한국기업들이 진출하고 싶은 하나의 시장으로 될 전망으로 보임. 또한 내년도 전시회에도 더 많은 국가 및 기업이 참여할 것으로 전망됨.
- 상하이 반도체 전시회 썸네일 이미지상하이 반도체 전시회
전시회 명 한글 중국 상하이 반도체 전시회 영문 SEMICON CHINA 2020 개최기간 2020.06.27 — 2020.06.29 홈페이지 www.semiconchina.org/en 연혁 32회 규모 74,000㎡ 21개국 참가업체수 862개 참관객수 1,000,000명 전시분야 반도체 제조용 장비, 소재 및 부품 한국관 참가현황 270 sqm, 12개사 ○ 전시회의 개요 -2020 중국 상하이 반도체 전시회는 2020년 6월27일(토)부터 6월29일(월) 까지 상하이 푸동 신국제전람중심에서 개최되였고 이번전시회의 행사면적은 74,000㎡이고 총 21개 국가에서 온 862개 업체가 참가했으며 참관객은 약 1,000,000여명을 기록함. 참가국가는 한국, 대만, 독일등 주요 국가 외에도 다양한 업체들이 참가하여 반도체 제조용 장비와 소재 및 부품을 선보임. ○ 전시회 특징 - 이번 반도체 전시회는 플랫패널디스플레이 전시회와 함께 열렸으며 대부분 업체들이 반도체 제조용 장비와 소재 및 부품을 전시함. 플랫패널디스플레이와 반도체 전시회가 함께 열린만큼 참관객 및 바이어들 수가 많았음. 많은 업체들이 중국 시장 진출하기 위해 참가함. - 코로나 19를 방호하기 때문에 전시관에 입장검사로 많은 시간을 씀. - 코로나 19 때문에 다른 국가 전시 구역은 작년에 보다 감소하였음. 한국관 대부분 기업들은 화상상담과 대리상담 방식을 사용했음. ○ 한국관 주요품목 소개 및 동향, 바이어 반응 -한국관은 FUGEN, 에스엘그룹, NEXTIN, 제너셈, 울텍, LB 세미콘주식회사, 네온테크, 에스엠지, 에스티코퍼레이션, 일진저스템, 캔탑스, VAD 등 12개 업체가 참가하였고 반도체 제조용 장비와 소재 및 부품 등 전시품을 출품하여 많은 해외 바이어들로부터 호평을 받음. -한국관은 SEMI CHINA 위챗 공식계정을 통하여 홍보활동 전개하고 전시회 현장에 한국기업의 홍보비디오를 방영했음. ○ 향후 전시회 (발전) 전망 -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의 2020년 9월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 19로 통신 및 IT 인프라에서 개인용 컴퓨터 및 각종 전자제품에 이르기까지 필수적으로 사용되는 구동 칩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2020년 글로벌 반도체 팹(생산라인) 장비 투자액은 2019년 대비 8% 성장, 2021년에는 13% 증가하며 전례없는 호황을 누릴 것으로 전망함. - 중국 시장은 반도체 분야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국가중 하나임. 이러한 중국에 반도체 분야에 꾸준한 성장은 많은 해외기업 및 한국기업들이 진출하고 싶은 하나의 시장으로 될 전망으로 보임. 또한 내년도 전시회에도 더 많은 국가 및 기업이 참여할 것으로 전망됨.
- 중국 상하이 반도체 전시회 썸네일 이미지중국 상하이 반도체 전시회
전시회 명 한글 중국 상하이 반도체 전시회 영문 SEMICON CHINA 2019 개최기간 2019.3.20 - 2019.3.22 홈페이지 www.semiconchina.org/en 연혁 31회 규모 74,000㎡ 20개국 참가업체수 800개사 참관객수 1,000,000명 전시분야 반도체 제조용 장비, 소재 및 부품 한국관 참가현황 270 sqm, 19개사 ○ 전시회의 개요 -중국 상하이 반도체 전시회가 지난 3월20일부터 3월22일까지 상하이 푸동 신국제전람중심에서 개최되었음. 이번전시회의 행사면적은 74,000㎡이고 총 20개 국가에서 온 800여개 업체가 참가했으며 참관객은 약 1,000,000여명을 기록함. 한국,일본,미국,독일등 주요 국가 외에도 다양한 업체들이 참가하여 반도체 제조용 장비와 소재 및 부품을 선보임. ○ 전시회 특징 - 이번 상하이 반도체 전시회는 2019년3월20일 수요일부터 3월22일 금요일까지 상하이 푸동 신국제전람중심에서 개최됨, 이번 반도체 전시회는 플랫패널디스플레이 전시회와 함께 열렸으며 대부분 업체들이 반도체 제조용 장비와 소재 및 부품 을 전시함. 플랫패널디스플레이와 반도체 전시회가 함께 열린만큼 참관객 및 바이어들 수가 많았음. 많은 업체들이 중국 시장 진출하기 위해 참가함. ○ 한국관 주요품목 소개 및 동향, 바이어 반응 -한국관은 LB세미콘, 디씨에스이엔지, 쎄미시스코, 씨엔아이테크놀로지, 씨엠테크, 아이티아이, 에스에스피, 에스엠지, 에스티코퍼레이션, 에이엠테크놀로지, 엘케이엔지니어링, 엠케이피, 일신네오, 저스틴비디엔엘, 제너셀, 코마테크놀로지, 토오텍, 퓨젠, 한영 등 19개 업체가 참가했음. 거의 대부분업체들이 반도체 제조용 장비와 소재 및 부품을 전시했고 업체들 중 대부분 중국시장진출을 희망함. 전시회 기간중 한국업체들에 전시품에 대한 바이어들에 반응은 대체로 긍정적이었음. ○ 향후 전시회 (발전) 전망 -중국 시장은 올해 반도체 분야에서 두 자릿수의 성장을 기록했을 만큼, 반도체 분야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국가중 하나임. 이러한 중국에 반도체 분야에 꾸준한 성장은 많은 해외기업 및 한국기업들이 진출하고 싶은 하나의 시장으로 될 전망으로 보임. 또한 차년도 전시회에도 더 많은 국가 및 기업이 참여할 것으로 전망됨. ○ 향후 전시회 참가를 위한 조언 및 참고사항 -중국반도체시장에 성장률이 꾸준히 증가하고 중국내 경쟁업체도 함꼐 증가하고있음. 반도제 제품에 가격경쟁 또한 치열한 상황이므로 경쟁력 유지를위해서는 신제품 개발 및 원가절감 노력이 필요함. 참가기업들은 중국 내 대리상, 브랜드 진출등 다양한 유통채널 진출 확대를 위해서 중국바이어들에 관심을 끌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
- 중국 상하이 반도체 전시회 썸네일 이미지중국 상하이 반도체 전시회
전시회 명 한글 중국 상하이 반도체 전시회 영문 SEMICON CHINA 2018 개최기간 2018.3.14 - 2018.3.16 홈페이지 www.semiconchina.org/en 연혁 31회 규모 (2018년 기준) 40,414㎡ 40개국 참가업체수 965개사 참관객수 80,000명 전시분야 반도체 제조용 장비, 소재 및 부품 한국관 참가현황 198sqm, 13개사 ○ 전시회의 개요 -중국 상하이 반도체 전시회가 지난 3월 14일부터 3월 16일까지 상하이 푸동 신국제전람중심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전시회의 행사면적은 40,414㎡이고 총 40개 국가에서 온 965여개 업체가 참가했으며 참관객은 약 80,000여 명을 기 록 하였다. 한국, 일본, 미국, 독일 등에서 온 30여개의 업체가 참가하였으며 주요 국가 외에도 다양한 업체들이 참가하 여 각 분야 별 소비재의 신제품을 대거 선보임. ○ 전시회 특징 - 이번 상하이 반도체 전시회는 2018년 3월 14일 수요일부터 3월 16일 금요일까지 상하이 푸동 신국제전람중심에서 개최됐고, 각종 반도체제조용 장비, 소재 및 부품 등 제품이 전시됨. ○ 한국관 주요품목 소개 및 동향, 바이어 반응 - 한국관은 메카로, 소로나, 올텍오토메이션, 코마테크놀로지, 화인반도체기술, 네스텍코리아, 에스에스피, 에이엠테크놀로지, 엑시콘, 엘비세미콘, 토오텍, 퓨젠, 한영 등 13개 업체가 참가하였고, 반도체 제조용 장비와 소재 및 부품 등 전시품을 출품하여 많은 해외 바이어들부터로 호평을 받음. ○ 향후 전시회 (발전) 전망 - 2018 상하이 반도체 전시회는 6회째 참가하고 해외수입에 대한 증가에 따라 전시회 규모도 해가 갈수록 늘어나고 있는 추세임. ○ 향후 전시회 참가를 위한 조언 및 참고사항 - 중국시장 공략을 위해 차기 전시회 한국관의 규모 확대가 필요하며, 전시회 기간 중 전문가를 초청해 중국시장 현황 및 진출 전략 등에 대한 심층 논의 세미나 지속 개최도 필요함.
- 중국 상하이 반도체 전시회 썸네일 이미지중국 상하이 반도체 전시회
전시회 명 한글 중국 상하이 반도체 전시회 영문 SEMICON CHINA 2017 개최기간 2017.3.14 - 2017.3.16 홈페이지 www.semiconchina.org/en 연혁 30회 규모 ( 20 년 기준) 27,009㎡ 30개국 참가업체수 1,100개사 참관객수 30,000명 전시분야 반도체 제조용 장비, 소재 및 부품 한국관 참가현황 198 sqm, 21개사 ○ 전시회의 개요 -중국 상하이 반도체 전시회가 지난 3월 14일부터 3월 16일까지 상하이 푸동 신국제전람중심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전시회의 행사면적은 27,009㎡이고 총 30개 국가에서 온 1100여개 업체가 참가했으며 참관객은 약 30,000천여 명을 기 록 하였다. 한국, 일본, 미국, 독일 등에서 온 30여개의 업체가 참가하였으며 주요 국가 외에도 다양한 업체들이 참가하 여 각 분야 별 소비재의 신제품을 대거 선보임 . ○ 전시회 특징 - 이번 상하이 반도체 전시회는 2016년 3월 4일 수요일부터 3월 16일 일요일까지상하이 푸동 신국제전람중심에서 개최 고, 각종 평 반도체제조용 장비, 소재 및 부품 등 제품이 전시됨. ○ 한국관 주요품목 소개 및 동향, 바이어 반응 -한국관은 금강쿼츠, 유니테스트, 오로스테크놀로지, 에프에스티, 해피글로벌솔루션, 파인디앤씨, 메카로, 이노디스, 씨엔지플러스, 울텍, 디씨에스이엔지, 에스에스피, 티에프이, 엑시콘,오킨스전자, 케이맥, 시노펙스, 한국에이티아이, 엠투아이코퍼레이션, 로보스타, 윌비에스엔티총 21개의 중소기업이 참가하였고, 반도체 제조용 장비, 소재 및 부품 등 관련 전시품을 출품하여 많은 해외 바이어들부터로 호평을 받음. ○ 향후 전시회 (발전) 전망 - 각종 반도체 제조용 장비, 소재 및 부품 등 제품이 싸드의 영향으로 잠깐은 주춤하나.한국 물품에 대한 수요 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임 . ○ 향후 전시회 참가를 위한 조언 및 참고사항 - 각종 여러 업체들이 참가하여 품목은 적정하였으며, 중국내 경쟁업체가 증가하고, 가격경쟁이 심화되어 경쟁력 유지를 위해서는 참신한 디자인 및 원가절감 노력이 필요함. - 또한 막대한 자본과 국가 지원을 등에 업은 중국이 한국의 우수인재 영입에 공을 들이고 있음. 디자인과 노하우를 가진 인재라 면 파격적인 조건 제시를 마다하지 않는 추세임. 이와 관련하여 정부 차원의 적극적인 제도적 지원이 필요할 것으 로 보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