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레터

    2018 한중 통상협력 비즈니스 포럼

    내년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경제전망이 가장 암담한 한 해’ -

    - ICT 등 신흥분야 제3국 공동 진출을 시도해야 -

    중국기업과 협력하여 맞춤형 상품을 출시하고 신유통시대 공동 대응해야 -

     

     

     

    □ 개요

     

      ㅇ KOTRA 베이징 무역관지난 18일 베이징 JW 매리어트 호텔에서 “2018 한중 통상협력 비즈니스 포럼” 개최

        - 포럼 주제는 “제3국 시장 공동협력과 신유통 시대 대응”

        - 당일 포럼은

         1) 글로벌 통상환경과 내년 중국경제 전망을 다루는 특별 세션,

         2) 3국시장 협력 방안을 모색하는 제1세션,

         3) 신유통시대의 한중 공동 대응과 발전을 논의하는 제2세션 등으로 구성

     

    설명: EMB000016002cec

    자료원: KOTRA 베이징 무역관

     

    □ 발표 내용

     

    포럼 일정

    내 용

    연 사

    특별 세션 기조연설

    ()글로벌 통상환경 동향과 한중 경제 협력방향

    서강대학교 국제대학원장 김시중 교수

    () 2019년 중국경제 및 시장전망

    중국사회과학원 거시경제연구원 탕둬둬(汤铎铎부주임

    세션  3국시장 공동협력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 동향

    상무부 연구원 아시아연구소 위안보(袁波부소장

    한국의 신남방신북방 정책 동향

    고려대 공공정책대학장 이충열 교수

    중국의 제3국시장 협력사례

    GEIDCO 상쥔융(相均泳시니어 애널리스트

    한국의 제3국시장 협력사례

    KIEP 중국경제실 이현태 부연구위원

    세션  신유통과 소비시장

    신유통 시대 중국 소비시장 전망

    중국경영연구소 박승찬 소장

    밸류체인 혁신과 기업의 시장 전략

    韩都衣舍 류쉐더(刘学德한국지사장

     

    ① 글로벌 통상환경 동향과 한중 경제협력 방향...서강대 국제대학원장 김시중 교수

     

      ㅇ 중국 경제는 글로벌 무역보호주의에 따른 통상압력경기하방 등에 직면

        - 미국의 일방적 보호무역 조치 급증 및 미국의 공격적 보호무역조치 중국에 집중

        - 올 7월 미중무역전쟁 본격화되면서 글로벌 무역 위축글로벌 생산네트워크 재편 가능성 증가 등 외부 불확실성 확대

        - 중저속 성장기에 접어든 중국경제는 경제구조와 성장 엔진 변화 등 다양한 변화를 맞이하고 있음.

     

      ㅇ 한중 협력글로벌 통상환경 및 중국경제 구조 변화에 맞춰 다음과 같은 전환을 시도해야

        1) 중국 내수 시장에 초점을 맞춰 현지 각종 플랫폼을 활용하여 중국 시장진출 가속화

        2) 중국의 관세 인하금융시장 개방 확대 등 기회를 활용하여 한중 협력을 서비스업으로 확대

        3) 중국의 일대일로 전략과 한국의 관련 정책을 연결하여 제3국 공동 진출특히 북한 개발 프로젝트 협력 방안 모색

        4) 중국 자본의 한국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도록 유도

     

    ② 2019년 중국 거시경제 전망...중국사회과학원 거시경제연구원 탕둬둬(汤铎铎부주임

     

      ㅇ 내년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경제전망이 가장 암담한 한 해’

        - 내년 중국 실물경제는 L자형 성장 단계를 유지할 것이며 상반기 경기하방 압력 심화되겠으나 하반기엔 다소 완화 전망

        - 경기하강은 미중무역전쟁보다는 중국 정부의 금융 디레버리징이 주 요인이며 앞으로도 금융 디레버리징은 최소 2~3년 지속될 것으로 예상됨.

     

      ㅇ 중국 기업 경영난은 원인이 아니라 결과

        - 기업 부담 과중으로 경기가 하강하는 것이 아니라 경기하강으로 기업 경영환경 열악이란 고질적 문제가 더욱 두드러지고 있을 뿐

     

      ㅇ 내년 중국경제 정책 기조

        - 정부의 금융 디레버리징 기본 방침은 불변속도와 유연성 관리에 주력하여 무역전쟁 등과 겹쳐 공진이 일어나는 것을 피할 것으로 전망

     

      ㅇ 미중 무역전쟁이 중국 경제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통제 가능하지만 세계적인 불황과 경제 혼란을 초래할 우려가 있음.

        - 미중 무역전쟁의 최대 악영향은 세계무역 위축에 있는 것이 아니라 투자 수익에 대한 기대감을 최소화하는 데 있음.

     

    ③ 일대일로 건설과 신시대의 한중 협력...상무부 연구원 아시아연구소 위안보(袁波부소장

     

      ㅇ 지난 5년간 중국은 일대일로 연선국가와 무역 자유화 수준 향상투자 확대인프라와 금융 연결 등 방면에서 많은 성과를 거뒀음.

        - 2014~2017년 중국과 주변국 교역액은 1조 달러 수준을 유지 중중국 무역총액의 25% 이상에 해당

        - 주변국 정부와 협력을 적극 추진하여 일대일로 연선국에 산업단지크로스보더 단지 등 중국기업의 해외진출 플랫폼을 구축

         * 중국은 해외 경제무역협력단지 총 82개 건설,투자액(누계) 289억 달러, 입주기업3,995개 사, 해당 국가에 대한 납세액(누계) 20억 달러,현지 일자리 24만4천 개 창출

     

      ㅇ 향후 중국 일대일로 건설의 중점은 프로젝트 실효성 추구 및 투자 수익성 보장일대일로 제3국 협력방안 모색에 있음.

        - AIIB, ‘실크로드펀드’ 등 플랫폼을 활용해 민간자본이 연선국가 인프라자원개발 등 프로젝트에 공동투자하도록 지원하고 ‘일대일로’ 건설 지원 금융 시스템 구축에 주력할 수 있음.

     

      ㅇ 한중 양국은 공동 투자공동 입찰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인프라에너지물류 등 분야에서 우선 협력해야 함.

        - ‘일대일로’와 ‘신남방·신북방’ 정책 연결을 강화해 제3국 공동 진출 서비스 플랫폼 구축기업과 프로젝트 정보베이스 완비한중 제3국 공동 진출 협력기금조성 등을 통해 양자 간 무역투자 고도화를 추구하고 역내 일체화 협력에 노력을 기울여야 함.

     

    ④ 한국의 신남방정책과 아세안과의 경제협력...고려대 이충열 교수

     

      ㅇ 신남방정책은 한국의 대외정책에서 외교안보의 중요성과 경제관계의 중요성에서 불균형을 인정하고 이 둘을 조화하려는 시도임.

        - 한국 정부는 '17년 12월 한국 외교정책의 기본으로 신남방정책 제시글로벌가치사슬에서 경제 파트너로서 아세안을 중요시했음을 의미

         * 아세안은 한국의 2대 교역국이면서 한국 전체 무역 흑자의 반을 제공

     

    설명: EMB000016002cee

    자료원연사 발표자료

     

      ㅇ 한국은 신남방 정책을 통해 한국-아세안 경협 강화 추진 중이나 대형 프로젝트를 주도적으로 추진하는데 어려움이 있음.

        - 아세안의 수요를 충분히 고려하고 아세안에 필요한 프로젝트와 상품을 개발하되 중국 등 국가와 제3국 공동진출 모델을 모색해볼 필요가 있음.

     

    ⑤ 중국의 제3국시장 협력사례...GEIDCO 상쥔융(相均泳시니어 애널리스트

     

      ㅇ 중국은 동남아아프리카유럽 등 세계 각지에서 제3국 시장 협력 추진 중

        - 프랑스전력공사와 아프리카 그랜드 잉가 수력발전소 건설 프로젝트싱가프로 등 국가의 기업과 SMB WINNING CONSORTIUM(赢联盟)을 구성해 기니 보크사이트 공동개발 프로젝트에 참여

        - 한국기업과 제3국시장 협력사례로는 '15년 ZTE와 세종텔렘콤 산업협력, ZTE와 UFINE Technologies의 차세대 FTTx 개발 등이 있음.

        - 이외에도 그리스포르투갈 등 유럽에서 중국전력그룹 등 국유기업이 현지기업과 인프라 구축사업 추진 중

     

      ㅇ 한중 양국은 ICT 등 신흥분야 제3국 공동 진출을 시도할 필요가 있음.

        - 5G 등 산업 방면에서 선진국들은 다소 보수적인 태도를 보이지만 동남아 등 지역에서 한중 제3국 협력사업을 전개할 가능성이 있음.

        - 한중 제3국시장 공동진출 정보 플랫폼을 구축하고 한중 제3국 시장 협력기금을 조성하여 양국 기업의 제3국시장 공동진출을 지원해야 함.

        - 또 기존엔 한중 양국 기업이 유럽이나 미국 등 서방국가의 기술표준에 맞췄으나 한중 기업이 양국 기업들이 수준에 맞춰 기술표준을 제정하고 제3국 시장 공동진출을 추진해볼 수 있음.

     

    설명: EMB000016002cef

    자료원연사 발표자료

     

    ⑥ 국의 제3국시장 협력사례...KIEP 중국경제실 이현태 부연구위원

     

      ㅇ 한중 양국은 서로에게 가장 중요한 교역협력상대국으로 부상했으나 교역관계 재정립 및 신영역에서의 협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

        - 수단 카트툼 신공항두바이 팜 게이트웨이베트남 철도사업에콰도르와 베네수엘라 정유공장 등 한중 양국은 세계 각국에서 협력해왔음.

     

      ㅇ 서비스첨단산업금융정책 및 제도인프라 등 신분야에서의 협력 확장 필요

        1) 교통에너지 인프라 건설을 넘은 스마트시티유통(물류), 산업단지환경 등 협력 영역의 확대

        2) AIIB, ADB와 한중 양국 정부 기금국책은행 등의 공동사업 적극 추진

        3) 정부 지원+민간 주도하는 한중 협력 1.5 채널의 활성화로 인한 실질적 공동 연구

        4) 한중기업의 북한 공동 개발 등 한반도 정세 변화와 한중 공동진출의 개념 및 영역 확대

     

    설명: EMB000016002cf0

    자료원연사 발표자료

     

    ⑦ 중국 신유통변화와 중국소비시장 전망...중국경영연구소 박승찬 소장

     

      ㅇ 급부상하는 중국의 소비력

        - 베이징상하이톈진 등 10개 1급 행정구역 1인당 GDP가 1만 달러 상회했으며 이 지역에 사는 인구 수 45천만 명 이상

        - 투자소비수출 등 중국 경제를 견인하는 3가지 항목 가운데 소비의 경제성장 기여도가 가장 큰 상황

     

      ㅇ 현재 중국 소비시장의 특징을 전자상거래 및 모바일 결제 등을 이용하는 신유통과 공유경제로 요약 가능

        - 중국 공유경제의 목적은 돈이 아니라 빅데이터에 있음우리 기업들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신유통 플랫폼에 진출하는 전략을 강구해야

        - 또 중국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빅데이터 정보를 공유하고 맞춤형 상품 출시를 시도할 수 있음.

     

    ⑧ 都衣舍 류쉐더(刘学한국지사장

     

      ㅇ 한두이서의 신유통 대응전략

        - 온라인 신유통 플랫폼 활용티몰징둥왕이카오라웨이핀후이 등 중국 전통 온라인 플랫폼뿐만 아니라 양마터우핀둬둬샤오훙수 등 신규 플랫폼 활용도 제고

        - 위챗샵과 미니 그로그램 출시

         * 위챗샵이란 텐센트 위챗을 바탕으로 개설한 소셜 플랫폼공중계정 및 모멘트관리를 통해 친구의 신분으로 상품을 홍보하여 상품에 대한 고객의 신뢰도를 증대

        - 왕훙 생방송 활용왕훙 및 유명인의 일상생활을 통한 상품 홍보 방식으로 팬들의 구매를 유도

        - 브랜드 인큐베이션자체/합자/대행/왕훙 브랜드를 인큐베이팅

        - 콘텐츠 및 IP 콜라보양질의 콘텐츠를 통한 홍보로 소비자들의 시선을 사로잡고 IP 콜라보 등 연동행사와 결합으로 브랜드 인지도를 높임 엔터테인먼트화영상화, IP화된 브랜드 인터렉션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핵심 체험을 제공  

     

     

    자료원연사 발표자료, KOTRA 베이징 무역관